고혈압
2012.02.12 06:37

고혈압의 약물요법 - 2

조회 수 1639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4. 고혈압 약의 감량과 휴약

   치료 전의 혈압이 경증이거나

   1년 이상 또는 4회 방문 시 혈압이 효과적으로 조절된 경우

   (평균 90mmHg미만)

   초기에 한 가지 약이나 적은 용량으로 혈압이 효과적으로 조절된환자에

   서 고혈압의 위험인자나 장기손상이 없는 경우에 생활습관개선을 엄격히

   시행한 환자는 혈압이 안정되면(120/80mmHg이하) 단계적으로 투여량을

   서서히 감량하면서 약물을 중단할 수 있습니다.

   그 후에 계속 혈압의 변동을 관찰해야 하며 생활습관 개선을 엄격히

   시행하여야 합니다.

   상당수에서는 혈압약을 끊고 난 후 6개월 - 1년 뒤 혈압이 다시 올라갑

   니다.

 

 

5. 저항성 고혈압

   일반적으로 이뇨제를 포함한 작용기전이 다른 혈압약을 3가지 이상 각각

   의 충분한 용량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혈압이 140/90mmHg이하로 조절되

   지 않는 경우를 말합니다.

   대부분은 혈압약을 지시한대로 복용을 하지 않은 경우가 제일 흔합니다.

   또한 이차성 고혈압 일 가능성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저항성 고혈압의 원인

  부적절한 혈압 측정

  백의 고혈압 또는 진찰실에서의 혈압상승

  노년층의 가성 고혈압

  뚱뚱한 팔에 표준 커프 사용: cuff폭이 좁으면 혈압이 높게

                             나타남니다.

  체액의 과잉

  소금섭취 과다

  신장질환에 의한 수분저류

  부적절한 이뇨제 사용

  약제와 관련된 요인

  용량이 적거나 부적절한 병용요법

  약의 부작용

  약품과의 상호작용

  감기약, 비스테로이드진통제, 부신스테로이드 호르몬

  피임약,cyclosporine과 tzcrolimus, erythropoirtin

  감초, 코카인

  알코홀 섭취과다

  수면성 무호흡증을 포함한 이차성 고혈압

 

6. 기타 약물투여

   혈압을 낮추는 목적은 모든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환자가 가지고 있는 다른 위험인자를 동시에 치료해야 합니다.

   이때 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은 당뇨, 고지혈증, 관상동맥 질환, 죄졸중,

   신장질환입니다.

 1) 항혈소판 요법

    심혈관 위험이 높은 50세 이상의 고혈압 환자에서는 혈압을 안정범위

    (150/90mmHg)로 내린 후 위장출혈이 높은 경우를 제외하고 저용량의

    아스피린 등의 항혈소판제를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콜레스테롤 치료

    관상동맥질환, 말초동맥질환이나 뇌졸중 및 제2형 당뇨가 있는 경우

    LDL콜레스테롤이 130mg/dl 이상이면 콜레스테롤약을 사용하여 수치를

    30% 낮추는 것이 관상동맥질환이나 뇌졸중의 발생 또는 재발위험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3) 혈당조절

    2형 당뇨환자에서 혈당 목표치는 식전 110mg/dl, 당화혈색소는 6.5미만

    입니다.

 

 

                                                                                                                                                                                고혈압 진료지침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7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Ⅶ. 소어청소년 결핵 2. 소아청소년 결핵의 진단 김병광 2016.10.03 2703
106 고혈압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Ⅰ. 고혈압 2.본론 3) 고혈압 관리 김병광 2017.04.25 2677
105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Ⅱ. 경동맥 초음파 검사- 2. 본론2) 경동맥 초음파 측정방법 김병광 2018.03.06 2674
104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2. 본론 2) 당뇨병 전단계환자의 관리 김병광 2017.05.04 2665
103 고혈압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Ⅰ. 고혈압 2.본론 3) 고혈압 관리 김병광 2017.05.02 2656
102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4) 자기관리교육 김병광 2017.05.05 2647
101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1. 서론 김병광 2017.05.04 2645
100 고혈압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Ⅰ. 고혈압 2.본론 3) 고혈압 관리 김병광 2017.05.03 2637
99 고혈압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Ⅰ. 고혈압 2.본론 3) 고혈압 관리 김병광 2017.04.26 2635
98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Ⅳ. 뇌 MRI 및 MRA 검사 2. 본론 김병광 2018.03.19 2611
97 고혈압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Ⅰ. 고혈압 2.본론 3) 고혈압 관리 김병광 2017.04.25 2600
96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Ⅰ. 맥파전달속도 및 발목상완지수 2. 본론 2) 발목 상완지수 김병광 2018.03.03 2588
95 고혈압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Ⅰ. 고혈압 2.본론 2) 고혈압 환자평가 김병광 2017.04.24 2584
94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Ⅰ. 맥파전달속도 및 발목상완지수 2. 본론 1) 맥파 전달 속도 검사 김병광 2018.03.03 2560
93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Ⅲ. 관상동맥 CT검사 - 권고사항 1. 서론 김병광 2018.03.15 2549
92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Ⅰ. 맥파전달속도 및 발목상완지수 - 권고사항 김병광 2018.02.23 2545
91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Ⅳ. 무증상고요산혈증의 치료 김병광 2016.09.21 2542
90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Ⅰ. 서론 김병광 2016.09.21 2518
89 고혈압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 1 .고혈압 2.본론 1) 고혈압 진단 김병광 2017.04.22 2516
88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Ⅲ. 관상동맥 CT검사 - 2. 본론 김병광 2018.03.17 2510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