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
2012.02.01 06:31

고혈압 환자의 평가 - 1

조회 수 1773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고혈압 환자의 평가를 하는 이유는 3가지 목적이 있습니다.

  ① 예후와 치료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생활습관과 고혈압외의

     다른 심혈관 위험인자 또는 동반질환을 찾고

  ② 고혈압의 이차적 원인을 밝히고

  ③ 표적장기 손상과 심혈관 질환 유무를 파악하기 위함입니다.

 

1. 고혈압 증상과 징후

   고혈압 환자는 특별한 증상이 없습니다.

   환자가 의사를 찾게 되는 경우에는

   1) 혈압상승: 신체검사 중 혈압이 높을 때

   2) 고혈압성 심혈관 질환

   3) 이차성고혈압인 경우 기저질환과 관계된 증상이 있을 때입니다.

   두통은 일반적으로 중증 고혈압이외에는 발생이 드물고 이 경우에도

   환자가 잠에서 깨어나는 이른 아침에 뒤통수 부위에 국한되어 일어난 후

   수 시간 후 저절로 살아집니다.

   고혈압성 심혈관질환의 등상으로는 코피, 혈뇨, 망막변화에 기인하는

   시야의 흐림, 일시적 뇌허혈에 의한 허약 또는 어지럼, 협심증(흉통),

   심부전에 의한 호흡곤란 등이 있습니다.

   이차성 고혈압인 경우에는 기저질환에 관계된 증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뒷에 있는 이차성 고혈압의 증상 및 선별검사를 참조하면 됩니다.)

 

2. 고혈압 병력

   ① 환자 본인이 과거 및 현재 병력과 가족력

   ② 이차성 고혈압을 의심할 만한 소견이 있나

   ③ 표적장기 손상이 있나

   ④ 심혈관질환 위험인자 유무 - 당뇨병, 지질대사 이상, 심혈관 질환에

                                의한 조기 사망의 가족력 등

   ⑤ 동반질환 병력 - 갑상선 질환 등

   ⑥ 생활 습관

   ⑦ 과거 고혈압의 유병기간, 치료여부와 결과 및 부작용

   ⑧ 기타 - 직업 등

 

3. 신체검사

   환자 평가를 위한 진찰에는

   1) 최초에는 좌우 양팔에서 정확한 혈압측정

   2) 안저검사

   3) 키와 몸무게를 이용한 체질량지수

   4) 경동맥, 복부 및 대퇴부 잡음 청진

   5) 갑상선 촉진

   6) 심장과 폐의 세밀한 진찰

   7) 복부에서 신장비대,종괴,방광팽창, 비정상적 대동맥 박동 등의 진찰

   8) 하지의 부종과 맥박의 촉진

   9) 신경학적 검사가 있습니다.

 

4. 고혈압 환자의 신체 검사

   치료 시작 전 기본검사는

     1) 심전도

     2) 소변검사

     3) 혈당 및 적혈구 용적

     4) 혈청 포타슘, 크레아티닌(혹은 추정사구체 여과율,eGFR)과 캴슘

     5) 공복 시 지질

     보충검사로는 소변 미세알부민뇨 측정 또는 알부민/크레아티닌 비율

     등의 측정이 있으나 당뇨병이나 신장질환에서는 매년 측정해야 합니다

고혈압 검사실 검사

기본검사

흉부x-ray

혈액검사 - 공복 시 혈당, 공복 시 지질

           크레아틴, 포타슘, 캴슘, 혈색소

           적혈구 용적

소변검사 - 단백질, 당뇨, 침전물

심전도

 

보충검사

심초음파

경동맥 초음파

C-반응 단백

미세알부민뇨(당뇨에서는 필수)

24시간 소변 단백뇨 검사(소변 스틱에서 단백뇨가 양성인 경우)

24시간 활동 중 혈압

 

확대검사

합병증이 있는 경우에 뇌, 심장, 신장기능 검사

이차성 고혈압의 선별검사

 

                                                                         고혈압 진료지침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7 B형간염 Ⅷ. 항바이러스 내성치료의 일반적인 원칙과 약제별 내성치료 김병광 2012.05.19 12726
106 B형간염 Ⅵ. 치료 중 어떠한 항목을 모니터링 해야 하고 치료종료는 언제하나? 김병광 2012.05.15 12557
105 B형간염 Ⅴ. 치료 약제와 치료전략 - 2 김병광 2012.05.11 12240
104 B형간염 Ⅴ. 치료 약제와 치료전략 - 1 3 김병광 2012.05.11 11911
103 B형간염 Ⅳ. 만성 B형간염의 치료 목표와 치료대상자는 ? 김병광 2012.05.08 12639
102 B형간염 Ⅲ. B형간염의 진단 및 초기 평가는? 김병광 2012.05.08 14952
101 B형간염 Ⅱ. B형간염의 예방 김병광 2012.05.03 12210
100 B형간염 Ⅰ. B형간염의 역학과 자연경과 김병광 2012.05.03 17862
99 소화기질환 치핵(치질)이란 ? 김병광 2012.04.14 17816
98 고혈압 특수질환에서의 고혈압: 8. 말초 동맥질환과 고혈압 9. 어린이와 청소년에서의 고혈압 10. 발기부전과 고혈압. 김병광 2012.02.22 17024
97 고혈압 특수질환에서의 고혈압: 6. 여성의 고혈압 7.대사증후군과 고혈압 1 김병광 2012.02.22 16083
96 고혈압 특수질환에서의 고혈압: 4. 뇌혈관 질환과 고혈압 5. 노인의 고혈압 3 김병광 2012.02.20 16243
95 고혈압 특수질환에서의 고혈압- 1. 심장질환과 고혈압 2.당뇨병과 고혈압 3. 신장병과 고혈압 4 김병광 2012.02.14 17328
94 고혈압 고혈압의 약물요법 - 2 김병광 2012.02.12 16390
93 고혈압 고혈압의 약물요법 - 1 김병광 2012.02.11 16774
92 고혈압 고혈압 환자의 평가 - 2 김병광 2012.02.02 15549
» 고혈압 고혈압 환자의 평가 - 1 김병광 2012.02.01 17735
90 고혈압 혈압측정 3 김병광 2012.01.30 29102
89 고혈압 고혈압환자의 생활요법 - 4 김병광 2012.01.28 15090
88 고혈압 고혈압환자의 생활요법 - 3 김병광 2012.01.28 14820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