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939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 우리나라 유병율 및 헬리코박터 재감염률

   2005년 전국 15,916명 대상으로 한 헬리코박터 감염유병률은 59.6%로

   1998년에 66.9%에 비해 감소를 보이고 있습니다.

   치료 후 재감염률은 4.4-6.0%로 보고되었다가 2008년에는 2.9%로 감소되

   었습니다.

 

2. 헬리코박터 감염의 검사 방법 및 대상

  1) 비내시경 검사 방법

     ⑴ 혈청검사 방법

        ELISA 법 - 예민도 97.8%, 특이도는 92%으로 비교적 정확하나

                   과거감염과 현 감염이 구별이 불가능 합니다.

        그 외에 면역형광법, immunoblot 등이 있습니다.

     ⑵ 요소호기 검사(urea breath test, UBT)

        예민도는 93%, 특이도는 100%입니다.

        그러나 항생제 투여 중지 후 최소 2-4주 이후에 검사를 시행하여야

        합니다.

     ⑶ 대변 내 항원검사

        소아에서 예민도 94.6%-100%, 특이도 96.1-98.4%로

        혈액채취를 하지 않아도 되므로 영유아에서도 검사를 할 수 있습니

        다.

  2) 내시경 검사 방법

     ⑴ 생검 조직을 이용한 요소분해효소 검사

        CLO test는 주로 우리나라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예민도는 97%, 특이도는 92%로 1차 검사로 추천됩니다.

        그 외에 ultrarapid urease test, urease reagent strip test 등

        이 있습니다.

     ⑵ 조직검사

        H & E 염색법, Gram 염색법, Giemsa염색법, Warthin-starry 은염

        색법, PAS염색법, Genta염색법 등이 있습니다.

        조직은 전정부에서 2표본, 체부에서 2표본 이상 조직을 채취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⑶ 배양검사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사용되지는 않습니다.

  3) 치료 후 추적검사

     약물치료 후 제균률이 70-80%되므로

     모든 위궤양 환자, 합병증을 동반한 십이지장 궤양환자,

     조기 위암환자, 변연부 B세포 림프종(MALT type) 환자와

     치료 후 증상이 남아있거나 증상이 재발된 십이지장궤양 환자 에서는

     추적검사를 시행하여 제균 치료 성공여부, 위암여부, 궤양병변의 재발

     여부를 각각 확인해야 합니다.

 

 

                                                                                                                             출처: 대한 소화기 학회지; 564권 제5호, 2009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1. 22. 당뇨병성콩팥병의 예방은?

    Date2011.10.04 Category당뇨병 By김병광 Views20632
    Read More
  2. 32. 당뇨병과 수술 전후 관리

    Date2011.10.21 Category당뇨병 By김병광 Views20609
    Read More
  3. 18. 당뇨병 환자에서 이상지혈증관리는?

    Date2011.09.27 Category당뇨병 By김병광 Views20538
    Read More
  4. 저항운동

    Date2011.05.02 Category기타 By김병광 Views20536
    Read More
  5. 7. 혈당조절 목표 8. 혈당조절의 모니터링 및 평가

    Date2011.09.09 Category당뇨병 By김병광 Views20487
    Read More
  6. 가습기의 오염된 미생물을 줄이는 요령 및 주의 사항

    Date2011.12.10 Category기타 By김병광 Views19941
    Read More
  7. 12. 당뇨병 치료제 - 인슈린 (언제 인슈린요법을 시행하여야 하나?)

    Date2011.09.20 Category당뇨병 By김병광 Views19730
    Read More
  8.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서의 운동처방의 기본

    Date2011.05.02 Category기타 By김병광 Views19728
    Read More
  9. 고혈압 2( 고혈압 분류/고혈압의 표적장기란?/고혈압 약을 복용시 이점/고혈압 위험인자 등 등

    Date2011.05.02 Category고혈압 By김병광 Views19535
    Read More
  10.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의 진단과 치료 가이드라인 - 1

    Date2012.01.21 Category소화기질환 By김병광 Views19391
    Read More
  11. 3. 당뇨의 원인/ 4. 당뇨병의 증상

    Date2011.05.02 Category당뇨병 By김병광 Views19231
    Read More
  12. 17. 당뇨환자의 심혈관 위험인자 평가

    Date2011.09.26 Category당뇨병 By김병광 Views19180
    Read More
  13. 25. 당뇨병환자는 발 관리를 어떻게 해야하나?

    Date2011.10.10 Category당뇨병 By김병광 Views18928
    Read More
  14. 19. 당뇨병환자에서 고혈압관리는?

    Date2011.09.29 Category당뇨병 By김병광 Views18899
    Read More
  15. 7. 당뇨병 합병증 1) 급성합병증

    Date2011.05.02 Category당뇨병 By김병광 Views18839
    Read More
  16. 5. 당뇨병진단/ 6. 매년 혈당검사를 해야 하는 사람은?

    Date2011.05.02 Category당뇨병 By김병광 Views18781
    Read More
  17. 운동요법 1

    Date2011.05.02 Category기타 By김병광 Views18763
    Read More
  18. 당뇨전단계 - 1

    Date2011.07.06 Category당뇨병 By김병광 Views18748
    Read More
  19. 독감(인플루엔자)바이러스란?

    Date2012.01.18 Category기타 By김병광 Views18688
    Read More
  20. 30. 당뇨병과 임신(임신성 당뇨병)

    Date2011.10.19 Category당뇨병 By김병광 Views1867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