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540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 재발결핵이 치료

  ① 과거에 원칙대로 결핵 초치료를 시행하고 치료를 종결한 후에

     결핵이 재발한 경우 과거에 치료했던 약제로 재 치료해야 합니

     다.

  ② 초치료 종결 후 2년 이내에 재발한 경우 재치료기간을 3개월

     연장해야 합니다.

  ③ 결핵균이 동정되면 신속내성검사를 시행하여 다제내성 결핵여부

    를 빨리 확인하고, 이 결과에 따라 처방을 재조정 해야 합니다.

 

2. 초치료 실패 결핵의 재치료

  ① 치료 실패의 원인을 찾기위해 자세한 병력을 청취해야 합니다.

  ② 치료실패가 발생하면 일차 항결핵제와 이차 항결핵에 대한

     약제 감수성검사를 시행하고, 이소니아지드와 리팜핀에 대한

     신속내성검사를 하여야 합니다.

  ③ 치료 실패 후 재치료 처방에 새로운 항결핵제를 한가지씩

     추가하지 않아야 합니다.

  ④ 치료 실패 결핵의 재치료는 전문가에게 의뢰하는 것이 좋습니

     다.

 

3. 이소니아지드 단독내성 결핵이 치료

  ① 이소니아지드를 중단하고 리팜핀, 에탐부톨, 피라지나마이드

     를 유지하여 6-9개월간 치료해야 합니다.

  ② 병변의 범위를 넓고 심한 경우 퀴론론계 약제를 추가하는 것을

     생각해봐야 합니다.

  ③ 초치료 표준요법(HREZ)으로 치료를 시작한 후 피라지나마이드를

     중단한 시점에서 이소니아지드 단독내성으로 확인되면

     이소니아지드를 중단하고 리팜핀, 에탐부톨을 사용하여 총

     12개월 간 치료하는 것을 고려해야 합니다.

 

4. 리팜핀 단독내성 결핵이 치료

   ① 리팜핀을 중단하고 이소니아지드, 에탐부톨, 피라지나마이드와

      퀴놀론을 사용하여 총 12-18개월간 치료해야 합니다(피라지나

      마이드는 2개월 이상 사용해야 합니다.)

   ② 병변의 범위가 넓고 심한 경우 주사제를 함께 사용하는 것을  

      고려해야 합니다.

 

5. 다제내성 결핵의 치료

   ① 다제내성 결핵이 치료는 경험이 많은 전문가가 치료한 것이

      좋습니다.

   ② 약제내성이 없는 것으로 추정되는 항결핵제를 4가지 이상

      동시에 사용해야 합니다.

   ③ 항결핵제를 선정할 때 항결핵 효과가 강력한 군에 포함된

      약제부터 순차적으로 선정해야 합니다.

   ④ 약제를 선정할 때 약제감수성 검사를 참조해야 하지만 이미

      사용 중인 일차 항결핵제 및 4군, 5군에 포함된 약제에 대한

      약제감수성 검사는 전적으로 신뢰하지 말아야 합니다.

   ☎ 1군(경구용 일차 항결핵제) - 이소니아지드, 리팜핀, 에탐부

                                 톨, 피라지나마이드, 리파부딘

      2군(주사제) - 카나마이신, 아미카신, 카프레오마이신,

                    스트렙토마이신

      3군(퀴놀론계) - 레보플록사신, 목시플록사신, 오플록사신

      4군(경구용 항결핵제) - 프로치온아미드, 시클로세린, 파스

      5군 - 클로파지만, 리네졸리드, Amoxixillin/Clavuanate),

            클래리스로마이신, 고용량이소니아지드, 이미페넴

   ⑤ 퀴놀로계 약제중 레보플록사신 이나 목시플록사신을 우선적으

      로 사용해야 합니다.

   ⑥ 효과가 없는 약제의 조합네 새로운 약제를 한가지만 추가해서

      는 안됩니다.

   ⑦ 주사제는 최소한 초기 6개월 동안은 사용해야하는 되 배양

      음전 후 최소 4개월 동안은 유지되야 합니다.

   ⑧ 배양 음전 후 최소 18개월 병변의 범위가 넓고 심한경우에는

      24개월까지 치료를 지속해야합니다.

   ⑨ 약제가 반응하지 않는 다제내성결핵의 경우 병변이 국소적이면

      환자의 전신상태가 양호한 경우 병변의 수술적 제거를 권고합

      니다.

   ⑩ 다제내성 결핵의 수술적 치료는 약물치료 시작 2-3개월 후

      수술 여부를 결정하여 시행해야 합니다.

   ⑪ 수술로 병변이 성공적으로 제거 되더라도 균 음전 후

      12-24개월간의 항결핵제의 투여가 필요합니다.

 

6. 광범위 약제내성 결핵의 치료

   ① 광범위 약제내성 결핵은 경험이 많은 전문가가 치료하는 것이

      좋습니다.

   ② 다제내성 결핵및 광범위 약제내성 결핵의 치료 실패로 인한

      만성 배균자의 경우 의료진, 환자, 가족의 동의 후

      결핵 치료를 중단하고 보존적 치료를 유지하는 것을 고려해야

      합니다.

 

 

                                                                               결핵 치료지침 2011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1. 고혈압환자의 생활요법 - 2

  2. 고혈압환자의 생활요법 - 1

  3.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의 진단과 치료 가이드라인 - 2

  4.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의 진단과 치료 가이드라인 - 1

  5. 독감(인플루엔자)바이러스란?

  6. 항암식품

  7. 최소 어느정도 운동이 건강에 도움이 되나

  8. Ⅳ. 특수상황에서의 결핵치료

  9. Ⅲ. 결핵이 재치료 및 약제내성 결핵이 치료

  10. Ⅱ. 결핵의 치료

  11. Ⅰ. 결핵의 진단 - 2

  12. Ⅰ. 결핵의 진단 - 1

  13.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 2

  14.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 1

  15. 알츠하임머치매란?

  16. 가습기의 오염된 미생물을 줄이는 요령 및 주의 사항

  17. 콜레스테롤에 대한 기초상식(정리)

  18. 콜레스테롤에 대한 기초상식 - 6

  19. 콜레스테롤에 대한 기초상식 - 5

  20. 콜레스테롤에 대한 기초상식 - 4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