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핵
2012.01.04 05:02

Ⅱ. 결핵의 치료

조회 수 1466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 결핵 초치료

  1) 결핵 초치료의 표준처방은 2HRZE/4HR(E)

     ☎ 2HRZE는 처음 2달동안 이소니아지드, 리팜핀, 피라지나마이드,

        에탐프톨을 사용하고

        4HR(E)은 그후 4달 동안 이소니아지드, 리팜핀, 에탐부톨을 유지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2) 약제 감수성 검사 결과 이소니아지드 및 리팜핀에 감수성 결핵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치료 2개월부터 에탐부톨의 중단을 고려할 수 있습니

     다.

  3) 결핵 초치료 환자에서 치료 시작 시 흉부 X선서 동공이 있고

     치료 2개월 후 시행한 객담 배양양성인 경우에는 유지 치료기간의

     3개월 연장을 고려해야 합니다.

  4) 결핵치료 전 병력청취를 통해 항결핵제에 의한 부작용 발생 위험을

     평가하고 시력검사 등의 기저검사를 시행하여야 합니다.

  5) 치료 전에 일반혈액검사, 간기능, 신장기능 등을 확인하고, 가임여성

     의 경우 임신여부를 확인하여야 합니다.

  6) 결핵균 양성(도말 혹은 배양 양성)폐결핵환자의 경우 치료시작 후

     도말과 배양 검사가 2회 연속 음성으로 나올 때 까지 매달 객담 도말

     및 배양 검사를 시행하고,

     치료 종결 시점에서 마지막 객담검사를 시행하여야 합니다.

  7) 임상적으로 치료 실패가 의심되는 경우 객담도말 및 배양 검사를 추가

     로 시행하여야 합니다.

  8) 치료시작 시 얻은 배양 양성결핵균에 대한 약제 감수성검사를 시행하

     여야 합니다.

  9) 흉부 X선검사 단독으로 치료반응을 평가하지 않습니다.

 

2. 결핵 치료 중 부작용의 발생시 대처 방법

  1) 증상의 유무와 관계없이 간효소 수치가 정상상한치의 5배 이상 증가

     했거나 간염의 증상이 동반되면서 정상 상한치의 3배 이상 증가한

     경우에는 즉시 간독성이 의심되는 항결핵제를 중단해야 합니다.

  2) 혈소판이 감소된 경우에는 리팜핀의 과민반응이 가장 가능성 있는

     원인이므로 리팜핀을 중단하고 주기적으로 혈소판 수치를 검사해야

     하며 정상적으로 회복되더라도 피팜핀을 재 투여하지 않아야 합니다.

  3) 피라지나마이드에 의한 관절통은 투약을 계속하면서 비스테로이드

     소염제를 투여할 수 있으나 통풍이 발생하면

     피라지마이드를 중단하여야 합니다

                                              

 

                                                                     결핵 진료지침 2011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7 기타 최소 어느정도 운동이 건강에 도움이 되나 김병광 2012.01.13 17966
386 기타 항암식품 김병광 2012.01.16 18176
385 기타 독감(인플루엔자)바이러스란? 김병광 2012.01.18 18688
384 소화기질환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의 진단과 치료 가이드라인 - 1 김병광 2012.01.21 19391
383 소화기질환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의 진단과 치료 가이드라인 - 2 3 김병광 2012.01.21 23768
382 고혈압 고혈압환자의 생활요법 - 1 김병광 2012.01.28 15991
381 고혈압 고혈압환자의 생활요법 - 2 김병광 2012.01.28 15576
380 고혈압 고혈압환자의 생활요법 - 3 김병광 2012.01.28 14820
379 고혈압 고혈압환자의 생활요법 - 4 김병광 2012.01.28 15090
378 고혈압 혈압측정 3 김병광 2012.01.30 29104
377 고혈압 고혈압 환자의 평가 - 1 김병광 2012.02.01 17735
376 고혈압 고혈압 환자의 평가 - 2 김병광 2012.02.02 15549
375 고혈압 고혈압의 약물요법 - 1 김병광 2012.02.11 16774
374 고혈압 고혈압의 약물요법 - 2 김병광 2012.02.12 16390
373 고혈압 특수질환에서의 고혈압- 1. 심장질환과 고혈압 2.당뇨병과 고혈압 3. 신장병과 고혈압 4 김병광 2012.02.14 17328
372 고혈압 특수질환에서의 고혈압: 4. 뇌혈관 질환과 고혈압 5. 노인의 고혈압 3 김병광 2012.02.20 16243
371 고혈압 특수질환에서의 고혈압: 6. 여성의 고혈압 7.대사증후군과 고혈압 1 김병광 2012.02.22 16083
370 고혈압 특수질환에서의 고혈압: 8. 말초 동맥질환과 고혈압 9. 어린이와 청소년에서의 고혈압 10. 발기부전과 고혈압. 김병광 2012.02.22 17024
369 소화기질환 치핵(치질)이란 ? 김병광 2012.04.14 17816
368 B형간염 Ⅰ. B형간염의 역학과 자연경과 김병광 2012.05.03 1786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