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핵
2012.01.04 05:02

Ⅱ. 결핵의 치료

조회 수 1466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 결핵 초치료

  1) 결핵 초치료의 표준처방은 2HRZE/4HR(E)

     ☎ 2HRZE는 처음 2달동안 이소니아지드, 리팜핀, 피라지나마이드,

        에탐프톨을 사용하고

        4HR(E)은 그후 4달 동안 이소니아지드, 리팜핀, 에탐부톨을 유지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2) 약제 감수성 검사 결과 이소니아지드 및 리팜핀에 감수성 결핵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치료 2개월부터 에탐부톨의 중단을 고려할 수 있습니

     다.

  3) 결핵 초치료 환자에서 치료 시작 시 흉부 X선서 동공이 있고

     치료 2개월 후 시행한 객담 배양양성인 경우에는 유지 치료기간의

     3개월 연장을 고려해야 합니다.

  4) 결핵치료 전 병력청취를 통해 항결핵제에 의한 부작용 발생 위험을

     평가하고 시력검사 등의 기저검사를 시행하여야 합니다.

  5) 치료 전에 일반혈액검사, 간기능, 신장기능 등을 확인하고, 가임여성

     의 경우 임신여부를 확인하여야 합니다.

  6) 결핵균 양성(도말 혹은 배양 양성)폐결핵환자의 경우 치료시작 후

     도말과 배양 검사가 2회 연속 음성으로 나올 때 까지 매달 객담 도말

     및 배양 검사를 시행하고,

     치료 종결 시점에서 마지막 객담검사를 시행하여야 합니다.

  7) 임상적으로 치료 실패가 의심되는 경우 객담도말 및 배양 검사를 추가

     로 시행하여야 합니다.

  8) 치료시작 시 얻은 배양 양성결핵균에 대한 약제 감수성검사를 시행하

     여야 합니다.

  9) 흉부 X선검사 단독으로 치료반응을 평가하지 않습니다.

 

2. 결핵 치료 중 부작용의 발생시 대처 방법

  1) 증상의 유무와 관계없이 간효소 수치가 정상상한치의 5배 이상 증가

     했거나 간염의 증상이 동반되면서 정상 상한치의 3배 이상 증가한

     경우에는 즉시 간독성이 의심되는 항결핵제를 중단해야 합니다.

  2) 혈소판이 감소된 경우에는 리팜핀의 과민반응이 가장 가능성 있는

     원인이므로 리팜핀을 중단하고 주기적으로 혈소판 수치를 검사해야

     하며 정상적으로 회복되더라도 피팜핀을 재 투여하지 않아야 합니다.

  3) 피라지나마이드에 의한 관절통은 투약을 계속하면서 비스테로이드

     소염제를 투여할 수 있으나 통풍이 발생하면

     피라지마이드를 중단하여야 합니다

                                              

 

                                                                     결핵 진료지침 2011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7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Ⅰ. 금연- 권고사항 김병광 2018.01.21 2097
406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Ⅱ. 음주- 2. 본론 3) 일차의료에서 음주 문제에 대한 평가와 개입 김병광 2018.02.01 2105
405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기타 관련 질환 Ⅱ. 수면무호흡증 2. 본론 8) 치료 김병광 2018.01.20 2105
404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Ⅰ. 금연- 2. 본론 4) 금연상담 김병광 2018.01.26 2107
403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Ⅱ. 음주- 2. 본론 4) 가족 중심의 진료 접근 5) 약물치료 김병광 2018.02.05 2113
402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 Ⅱ. 불안증 - 3. 불안장애의 치료3) 약물선택 및 약물치료의 기간 김병광 2018.01.12 2119
401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Ⅳ. 식생활 - 2. 본론 3. 요약 김병광 2018.02.19 2131
400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기타 관련 질환 Ⅱ. 수면무호흡증 2. 본론 5) 페쇄성 수면무호흡증의 검사 및 적응증, 병리기전, 동반질환 김병광 2018.01.19 2133
399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Ⅲ. 신체활동 - 2. 본론 2) ADVISE (1) 유산소 운동 원칙 (2) 근력운동 원칙 김병광 2018.02.09 2143
398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Ⅲ. 신체활동 - 2.본론2) ADVISE (3) 준비운동과 정리운동 원칙 (4) 65세 이상 노인에서의 신체활동 원칙 김병광 2018.02.10 2143
397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Ⅳ. 식생활 - 1. 본론 1) 적정체중을 유지할 정도의 음식섭취를 한다 2) 지방 김병광 2018.02.15 2143
396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1. 아스피린 예방요법 2. 본론 김병광 2018.02.20 2166
395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1. 아스피린 예방요법 2. 본론 1. 아스피린 예방요법의 근거 김병광 2018.02.20 2168
394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기타 관련 질환 Ⅰ. 발기부전 - 1. 본론 2) 발기부전 환자의 진단,3) PDE5억제제 사용지침 김병광 2018.01.17 2179
393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Ⅱ. 경동맥 초음파 검사- 1. 서론 김병광 2018.03.05 2207
392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 Ⅱ. 불안증 - 3. 불안장애의 치료2) 약물요법 김병광 2018.01.11 2216
391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Ⅱ. 심방세동 항응고 요법 - 권고사항 김병광 2018.02.21 2217
390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Ⅰ. 맥파전달속도 및 발목상완지수 김병광 2018.03.03 2220
389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Ⅱ. 심방세동 항응고 요법 -2. 본론 김병광 2018.02.22 2243
388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Ⅱ. 경동맥 초음파 검사- 2. 본론 김병광 2018.03.05 228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