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레스테롤
2011.12.05 20:53

콜레스테롤에 대한 기초상식 - 5

조회 수 1397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8. 지질저하제을 복용 시 간기능 검사는?

    약물 복용전과 시작한 후(또는 용량을 증량한 후) 6주 및 12주에

    시행하며

    그 후에는 반년에 1번씩 시행하면 됩니다.

    그때 고지혈증 검사도 간기능과 같이 하면 됩니다.

 

19.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이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은?

  1) 포화지방산

     혈중 콜레스테롤을 높이는 것은 콜레스테롤의 섭취보다도 포화지방산

     의 섭취가 더 해롭습니다.

     육류, 유제품, 기름이 많은 제과류, 팜류 등 포화지방산의 과잉섭취는

     혈중 LDL을 증가시킵니다.

     포화지방산이 혈중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는 것이 불포화지방산이 혈중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작용의 2배가 되므로 조심을 해야 합니다.

  2) 불포화지방산

    ⑴ 단일불포화지방산

       대표적이 올리브기름이며 LDL-C을 감소시키고, LDL산화를 억제하여

       죽상경화를 방지합니다.

    ⑵ 다가불포화지방산(오메가 6지방산)

       리놀레산, γ-리놀렌산, 아라키돈산이 있으며

       간세포의 LDL 수용체의 활성과 수를 증가시켜 LDL-C을 감소시키고,

       콜레스테롤로부터 담즙산의 합성을 증가시켜 혈중콜레스테롤을 저하

       시킴니다.

       과잉섭취하면 HDL이 저하되고 LDL산화와 염증반응, 혈전생성을 촉진

       시킵니다.

       리놀레산이 많이 섭취하면 암유병률(유방암, 대장암)이 높다고도 합

       니다.

       콩기름(대두유), 옥수수 기름같은 오메가-6가 많은 식물성 식용류를

       사용한 튀김, 부침 등의 과잉섭취는 줄여야 됩니다.

    ⑶ 다가불포화지방산(오메가 3지방산)

       α- 리놀렌산, DHA, EPA 등이 있으며

       간에서 VLDL합성을 억제하고, 혈중 VLDL의 제거율이 높이며,

       혈중 총콜레스테롤, LDL-C을 감소시키고, HLL-C을 높여 고지혈증

       개선효과를 보이며

       혈소판 응집감소, 혈액응고시간 지연, 혈액의 점도를 감소시켜

       염증반응을 억제하고

       혈관확장 및 혈압을 저하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중성지방의 감소 효과가 커 처방약으로도 사용되며 고중성지방증에

       하루 2g 이상 으로 사용 합니다.

       고지혈증환자에서 포화지방산: 단일불포화지방산: 다가불포화지방산

       은 1: 1-1.5: 1 정도로 하는 것이 적당합니다.

       오메가 6과 오메가 3의 섭취 비율은 4-10:1로 권장하고 있습니다.

 

20. 육류를 섭취하지 않아도 콜레스테롤은 올라가는 이유는 ?

    간에서 콜레스테롤의 합성을 조장하는 것은 포화지방산입니다.

    고기를 먹지 않더라도 포화지방산이 많이 들어있는 제과류 등 또는

    식물성 식용류인 팜류 등으로 만든 음식을 섭취하면 올라갈 수 있습니

    다.

    갑상선기능저하증이나 폐경기에는 LDL 수용체의 활성이 감소되어

    콜레스테롤의 분해가 감소되고 콜레스테롤이 올라갈 수 있습니다.

    그 외에 선천적으로 간에서 LDL 수용체가 문제가 생기는 가족성 고콜레

    스테롤혈증이 있습니다.

 

21. 식물성 식용는 많이 섭취하면 좋은가?

    식물성 콜레스테롤은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기 때문에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추나 포화지방산을 많은 팜유로 만든 커피프림, 라면,

    각종 스낵류와 와 코코넛기름이 많은 초콜렛을 많이 섭취하면 혈중콜레

    스테롤을 올립니다.

    불포화지방산이 많이 들어있는 식물성기름도 많이 섭취하면 과체중이나

    비만이 오고 이것이 혈중 콜레스테롤이나 중성지방을 높일 수 있으므로

    많이 먹는 것은 조심해야 합니다.

    고지혈 환자의 지방섭취량은 총칼로리의 20%이므로 하루 2000kcal를

    섭취하여야 할 경우에는 하루 400Kcal로 지방이 약 45g입니다.

    그러나 우리가 하루 섭취하는 다른 음식물에서도 지방의 반이 들어있으

    므로 22.5g 정도가 됩니다. 식용유를 밥숟가락으로 1스푼이 12g이므로

    2밥숟가락 이하로 드시면 됩니다.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67 기타 무릎 퇴행성 관절염에서 운동처방(사진은 PPT 자료실 보시면 됩니다) 김병광 2011.05.02 30207
466 고혈압 혈압측정 3 김병광 2012.01.30 29104
465 당뇨병 31. 노인당뇨병 김병광 2011.10.20 26607
464 기타 요통 운동요법(사진은 PPT 자료실 요통 운동요법 보시면 됩니다) 3 김병광 2011.05.02 24909
463 당뇨병 2. 당뇨병의 진단기준 3. 임신성당뇨병의 진단기준 김병광 2011.09.02 24511
462 당뇨병 당뇨관리 1. 식사요법 - 식품교환표를 이용한 칼로리 계산법 김병광 2011.05.02 24499
461 소화기질환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의 진단과 치료 가이드라인 - 2 3 김병광 2012.01.21 23768
460 기타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감염된 사람은 모두 치료해야 하나? 김병광 2011.07.21 23091
459 당뇨병 34. 당뇨병환자에서 베리아트릭 수술 김병광 2011.10.27 22881
458 기타 난치성 아토피피부염 환자 및 보호자에 대한 권고안(2011년 8월12일) 김병광 2011.08.27 22745
457 당뇨병 1. 당뇨병 선별검사 김병광 2011.09.01 22348
456 당뇨병 15. 저혈당 관리 3 김병광 2011.09.23 22292
455 고혈압 고혈압 3(검사종류/표적장기 장애 찾는 방법/혈압약의 차이는?/생활습관 개선) 김병광 2011.05.02 21922
454 당뇨병 1. 당뇨병이란/ 2. 당뇨병 분류 5 김병광 2011.05.02 21824
453 당뇨병 20. 항혈소판제는 모든환자가 복용해야하나 21. 당뇨병환자에서 금연 김병광 2011.10.01 21372
452 기타 신체활동과 국민 5대 사망질환 예방 김병광 2011.05.02 21361
451 당뇨병 24. 당뇨병성 망막병증 예방 및 치료 김병광 2011.10.08 21202
450 당뇨병 4. 당뇨병의 분류 김병광 2011.09.08 21130
449 기타 운동요법2 김병광 2011.05.02 20922
448 당뇨병 23. 당뇨병성 신경병증 예방 김병광 2011.10.06 2075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