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레스테롤
2011.12.01 20:35

콜레스테롤에 대한 기초상식 - 4

조회 수 1368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1. 심장질환에 콜레스테롤의 줄이면 어느 정도 이익이 있나?

    콜레스테롤약물 복용으로 콜레스테롤을 떨어뜨리면 30%정도 관상동맥

    질환을 감소시킬 수 있읍니다. 즉 관상동맥질환은 콜레스테롤 이외에

    고혈압, 당뇨, 흡연 및 복부비만 등 다른 중요한 인자가 있다는 것입니

    다. 그러므로 이러한 위험인자들을 같이 관리하여야 하며 규칙적인

    운동, 적당한 음주, 고 식이섬유 등도 예방효과가 있습니다.

12. 이상지혈증이란?

    낮은 HDL-C, 높은 중성지방 및 약간 높은 혹은 정상인 LDL-C을 말합니

    다. 이상지혈증의 치료목표는 중성지방을 낮추고 HDL 기능을 정상화

    시키는 것입니다. 고중성지방의 원인은 복부비만 및 인슈린저항성의

    결과이므로 비약물적인 요법으로는 체중감량을 통한 북부비만의 해소가

    가장 중요한 방법입니다.

☎ 인슈린 저항성이란?

   혈당을 낮추는 인슐린의 기능이 떨어져 세포로 포도당이 들어가지 못하

   는 것을 말합니다. 인슈린 저항 때문에 혈류에는 포도당이 쌓이고 췌장

   에는 인슈린을 더 많이 생성하라는 신호가 보내져 결국은 혈류에 인슈린

   과 포도당(Glucose) 수치 모두가 비정상적으로 높아져 지방 형성을 촉진

   하게 되며 비정상적인 콜레스테롤 수치, 높은 트리글리세리드, 고혈압

   등의 원인이 되어 최후에는 관상동맥질환이 유발됩니다.

   내장비만이 고지혈증 및 인슐린저항성과 관련이 되어있기 때문에

   생활습관개선을 통하여 정상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13. 관상동맥질환에서 콜레스테롤의 목표치는?

   관상동맥질환 외에 다른 질환이 없으면 100mg/dl 까지 낮추는 것이 좋습

   니다.

   관상동맥질환 환자가 당뇨병이 있거나, 흡연을 하는 경우, 대사증후군이

   있는 경우, 급성관상동맥증후군에서는 70mg/dl까지 낮추는 것이 좋습니

   다.

 

14. 고혈압환자에서 콜레스테롤의 목표는?

   NECP APTⅢ가이드라인에서는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인자 3개 이상인 심혈관 고위험군인 고혈압환자는

   LDL-C가 100mg/dl 이하로

   위험인자가 2개인 중등도 위험군은인 경우 LDL-C가 130mg/dl 이하로

   위험인자가 1개 이하인 저위험군인 경우 LDL-C가 160mg/dl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 CTT(Cholesterol Treatment Trial Collaboration)연구에서는 LDL-C을

   40mg/dl 줄일때마다 심혈관질환 사망및 이환율이 22% 감소하므로

   고위험군에서는 <70mg/dl미만으로, 또는 기저수치의 50%이상 감소시킬

   것을 권고하였습니다.

 

15. 당뇨환자에서 콜레스테롤이 낮아도 지질저하제를 먹어야 하나?

   당뇨병환자를 대상으로한 CARDS 연구에서 LDL-C가 117mg/dl 환자에서

   스타틴(지질저하제)을 투여함으로서 모든 심혈관계 질환을 32%정도

   감소시키고 심혈관계 질환의 사망률을 27% 감소시켰지만 모든 당뇨환자

   에서 지질수치와 관계없이 지질저하제를 복용해야하는지는 더 많은 연구

   가 필요할 것입니다.

 

16. 고지혈증이 있으면 약을 바로 먹어야 하나?

   고지혈증이 있을 때 약물의 복용은 환자가 가지고 있는 심혈관질환의

   위험에 따라 결정되어야 합니다.

   심혈관질환이 높지 않다면 일단 식사와 생활습관개선을 시행하고 3개월

   마다 검사하여 환자가 적극적으로 동참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현재 심혈관질환이 있거나 제2형 당뇨병이 있고 고지혈증이

   있으면 생활습관개선 및 약물복용을 같이 하는 것이 좋습니다.

 

17. 고지혈증약은 평생 먹어야 하나?

   콜레스테롤이 약물복용으로 정상화 되었다고 하더라도 심혈관질환이

   있거나 당뇨병이 있으면 평생 먹는 것이 원칙입니다.

   그러나 고지혈증만 있고 심혈관질환의 위험이 높지 않은 경우 약물복용

   을 하였다고 하더라도 생활습관개선을 개선하고 지질수치가 정상으로

   유지된다면 약을 점차적으로 감량하고 결국 중단을 할 수 도 있습니다.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 대한 기초상식 - 4 김병광 2011.12.01 13688
366 기타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 Ⅲ. 질환병 예방접종 2. 면역저하자 4 김병광 2013.05.20 13652
365 B형간염 Ⅷ. 항바이러스 내성치료의 일반적인 원칙과 약제별 내성치료 김병광 2012.05.19 12726
364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의 평가와 분류 Ⅰ. 만성 신질환의 정의와 단계 4 김병광 2012.11.16 12704
363 B형간염 Ⅸ. B형간염 경구용 항바이러스제 치료 중 치료반응 대한 예측인자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김병광 2012.05.25 12694
362 B형간염 Ⅳ. 만성 B형간염의 치료 목표와 치료대상자는 ? 김병광 2012.05.08 12639
361 B형간염 Ⅵ. 치료 중 어떠한 항목을 모니터링 해야 하고 치료종료는 언제하나? 김병광 2012.05.15 12557
360 기타 고혈압성 콩팥병 김병광 2012.09.05 12527
359 B형간염 Ⅹ. 특정질환군에서의 치료 - 2 김병광 2012.06.12 12347
358 천식 천식 환자와 가족을 위한 안내서 - 3 김병광 2011.11.18 12308
357 기타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 Ⅱ. 감염병별 예방접종 7. 홍역, 유행성이하선염, 풍진 김병광 2013.04.08 12274
356 B형간염 Ⅴ. 치료 약제와 치료전략 - 2 김병광 2012.05.11 12240
355 천식 천식 환자와 가족을 위한 안내서 - 1. 김병광 2011.11.15 12231
354 B형간염 Ⅹ. 특정질환군에서의 치료 - 1 김병광 2012.06.09 12222
353 B형간염 Ⅱ. B형간염의 예방 김병광 2012.05.03 12210
352 기타 만성콩팥병 예방과 관리를 위한 9대 생활수칙 김병광 2012.10.25 11982
351 B형간염 Ⅴ. 치료 약제와 치료전략 - 1 3 김병광 2012.05.11 11911
350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혈당조절 지침 Ⅰ. 당뇨병의 선별검사 Ⅱ . 당뇨병의 진단기준 Ⅲ. 당뇨병성 만성 신질환의 혈당 조절 목표 김병광 2013.01.11 11677
349 기타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Ⅰ. 성인 예방접종의 특성 김병광 2013.03.22 11645
348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의 평가 및 분류 Ⅱ. 만성 신질환의 검진대상 김병광 2012.11.26 1138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