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레스테롤
2011.11.30 02:04

콜레스테롤에 대한 기초상식 - 3

조회 수 14131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8. 식물에도 콜레스테롤이 존재하나?

   콜레스테롤은 동물성 스테로이드의 대표적인 성분으로

   식물에는 콜레스테롤이 없습니다.

   식물성 기름은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작용을 하지만 포화지방이 많이

   함유한 식물성기름인 팜유 및 코코넛기름과 트랜스지방산이 많은

   마아가린, 쇼트닝은 혈중콜레스테롤을 높이는 작용을 합니다.

   식물에는 식물성스테롤이 있어 동물성 스테로이드와 비슷한 화학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흡수할 때 소장에서 동물성스테로이드와 경쟁하므로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효과가 있습니다.

   많이 함유된 식품은 각종 식물성 기름과 콩류, 종자류(참깨, 해바라기

   씨)등이 있고 과일, 야채 등은 식물성스테롤 함량이 낮습니다.

 

9. 트랜스 지방산은 무엇인가?

   트랜스지방은 포화지방과 유사하게 LDL-C를 상승시키고 HDL-C를

   저하시켜 심혈관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킴니다.

   불포화지방산인 식물성 기름에 수소를 첨가하여 고체나 반고체형태로

   만든 마아가린 혹은 쇼트닝에 트랜스지방산이 많습니다.

   또한 패스트푸드 식당에서 튀김용 기름으로 쇼트닝을 사용되기도 합니

   다.

   파운드케이크, 도넛, 페스트리, 쿠키 등의 제과류에도 마아가린을 사용

   해서 만드는 것이 많습니다.

   그 외에도 팝콘, 냉동피자, 감자튀김, 닭튀김등에 많이 들어 있습니다.

   트랜스지방산은 LDL-C를 높이고 HDL-C낮아지므로 하루 총Kcal의 1%이하

   로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10. 불포화지방산은 무엇인가?

   포화지방산은 탄소와 탄소간에 이중결합이 없는 것을 말하며,

   불포화지방산이란 탄소와 탄소간에 이중결합을 가지고 있는 것을 말합니

   다.

   이중결합이 1개면 단일 불포화지방산, 2개 이상의 이중결합을 자기고

   있는 것은 다가불포화지방산이라 합니다.

   단일불포화지방산의 대표적인 것은 올레산(oleic acid)이며 이는 체내에

   서 합성이 가능한 지방산입니다.

   다가불포화지방산은 오메가-6, 오메가-3 지방산으로 분류합니다.

   오메가-6은 리놀레산(linoleic acid), γ-리놀렌산(γ-linolenic

   acid),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가 있으며

   오메가-3은 α-리놀렌산(α-linolenic acid), 아니코사펜타에노산

   (eicosapentaenoic acid; EPA), 도코사헥사에노산(docoashexae -

    noicacid;DHA)등이 있습니다.

불포화지방산이 많은 식품은

   1) 단일불포화지방산- 올레산은 올리브기름, 땅콩, 호두, 아몬드, 잣 등

                       의 견과류

   2) 다가불포화지방산

      오메가-6 - 리놀렌산은 식용유인 콩기름, 옥수수기름, 참기름

                 γ-리놀렌산은 달맞이꽃 종자유,

                 아라키돈산은 달걀, 간, 유제품

      오메가-3지방산 - 리놀렌산은 들기름

                       DHA와 EPA는은 생선과 어유 특히 고등어, 꽁치,

                           삼치, 청어, 연어 등의 등 푸른 생선입니다.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7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Ⅳ. 식생활 - 2. 본론 3. 요약 김병광 2018.02.19 2131
66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 Ⅱ. 불안증 - 3. 불안장애의 치료3) 약물선택 및 약물치료의 기간 김병광 2018.01.12 2119
65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Ⅱ. 음주- 2. 본론 4) 가족 중심의 진료 접근 5) 약물치료 김병광 2018.02.05 2113
64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Ⅰ. 금연- 2. 본론 4) 금연상담 김병광 2018.01.26 2107
63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기타 관련 질환 Ⅱ. 수면무호흡증 2. 본론 8) 치료 김병광 2018.01.20 2105
62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Ⅱ. 음주- 2. 본론 3) 일차의료에서 음주 문제에 대한 평가와 개입 김병광 2018.02.01 2105
61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Ⅰ. 금연- 권고사항 김병광 2018.01.21 2097
60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Ⅱ. 음주- 2. 본론 6) 음주 문제 및 상담치료 7) 음주 문제 환자의 의뢰 김병광 2018.02.05 2091
59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Ⅱ. 음주- 2. 본론 2) 음주문제 선별 김병광 2018.01.30 2090
58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Ⅲ. 신체활동 - 2.본론 3) AGREE 김병광 2018.02.11 2084
57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Ⅲ. 신체활동 - 2.본론 4) ASSIST 5) ARRANGE 3. 요약 김병광 2018.02.11 2083
56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Ⅳ. 식생활 - 1. 본론 3) 소금 김병광 2018.02.15 2080
55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Ⅳ. 식생활 - 1. 서론 김병광 2018.02.11 2076
54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Ⅰ. 금연- 2. 본론 3) 금연약물요법 김병광 2018.01.25 2072
53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1. 아스피린 예방요법 - 권고사항 김병광 2018.02.19 2071
52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Ⅲ. 신체활동 - 2. 본론 1) 신체활동을 평가하기(ASSESS) 김병광 2018.02.08 2069
51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Ⅲ. 신체활동 - 2.본론 2) ADVISE (5) 특정 환자 군에서의 주의점 김병광 2018.02.10 2067
50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Ⅰ. 금연- 2. 본론 3) 금연약물요법 김병광 2018.01.24 2065
49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Ⅳ. 식생활 - 권고사항 김병광 2018.02.11 2062
48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1. 아스피린 예방요법 1. 서론 김병광 2018.02.19 2059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