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레스테롤
2011.11.25 06:20

콜레스테롤에 대한 기초상식 - 2

조회 수 1419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5. 콜레스테롤의 역할은?

   콜레스테롤은 인체 세포의 세포막 구성성분이기도 하며, 중요한 에너지원도 됩니

   다. 따라서 콜레스테롤은 우리 몸속에 늘 적당량만 있어야 합니다.

   콜레스테롤 역할은

      ① 인체세포의 세포막 구성성분이며 중요한 에너지원도 됩니다.

      ② 성호르몬과 부신피질호르몬의 원료가 됩니다.

      ③ 담즙산의 원료가 됩니다.

   ☎ 간에서만 콜레스테롤을 분해할 수 있으며 간에서 분해된 콜레스테롤의

      최종산물은 담즙산으로 배출 됩니다.

      장에서 배출된 담즙은 약 90%가 다시 간으로 흡수됩니다.

6.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HDL-C)과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LDL-C)이란?

  1) HDL-C은 죽상동맥경화증을 막는다고 해서 좋은 콜레스테롤이라 합니다.

     좋은 콜레스테롤은 말초장기에서 간으로 콜레스테롤을 운반합니다.

      HDL-C이 죽상경화를 억제하는 작용은 다음의 3가지 작용에 의합니다.

        ① 콜레스테롤 유출(cholesterol Efflux) - 세포에 있는 콜레스테롤을

               대식세포와 HDL-C의해 콜레스테롤에 의해 퍼내는 작용을 합니다.

        ② 콜레스테롤 역수송작용(reversed cholesterol transport) - 이 퍼낸

               과잉 콜레스테롤을 간으로 가지고가는 역할을 합니다.

        ③ 항염증, 항산화작용 - LDL이 산화되는 것을 저지하는 항염증작용과

               직접적으로 동맥벽의 염증성 반응을 억제하는 항염증작용이 있습니

               다. 즉 죽상경화반에 직접 작용하여 죽상경화의 발생을 억제합니다.

     ☎ HDL-C이 낮아지는 경우는

        흡연, 비만, 과식, 음주, 운동부족, 당뇨병 등이 있습니다.

  2) LDL-C은 죽상동맥 경화증을 일으킨다고 해서 나쁜 콜레스테롤이라 합니다.

     LDL-C은 간에서 말초장기로 콜레스테롤을 운반합니다.

     대개는 LDL숫자와 LDL전체가 가지고 있는 콜레스테롤이 비례하고 있기 때문에

     LDL-C이 높으면 죽상동맥경화증이 잘 걸리게 됩니다.

     ☎ HDL과 LDL은 일종의 트럭이라고 생각 할 수 있습니다.

        혈관에 있는 나쁜 기름을 간으로 가서 태워버리는 운반도구가 HDL,

        간에 있는 콜레스테롤을 혈관으로 운반하는 것이 LDL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LDL-C가 가장 낮고 HDL-C이 가장 높을 때 질환의 발생이 가장 낮습니다.

     그러므로 LDL-C를 낮추는 것도 중요하지만 HDL-C을 높이는 것도 중요합니다.

 

7. 중성지방의 역할은?

   ① 포도당과 더불어 세포의 중요한 에너지원으로 사용됩니다.

   ② 음식으로 흡수되기도 하며 간에서 합성되기도 합니다.

      간에서 합성 된 중성지방은 VLDL에 의해, 음식으로 유입된 중성지방은

      유미입자(chylomicron)에 의해 운반됩니다.

   ③ 식이 중성산은 모두 중성지방을 만들 수 있으며 탄수화물을 많이 섭취해도

      중성지방이 많이 합성됩니다.

   ☎ 중성지방의 증가되는 경우는

      음주, 운동부족, 비만, 과식, 인슐린 저항성과 당뇨병 등이 있습니다.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7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Ⅲ. 신체활동 - 2.본론2) ADVISE (3) 준비운동과 정리운동 원칙 (4) 65세 이상 노인에서의 신체활동 원칙 김병광 2018.02.10 2143
406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Ⅲ. 신체활동 - 2. 본론 2) ADVISE (1) 유산소 운동 원칙 (2) 근력운동 원칙 김병광 2018.02.09 2143
405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Ⅲ. 신체활동 - 2. 본론 1) 신체활동을 평가하기(ASSESS) 김병광 2018.02.08 2069
404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Ⅲ. 신체활동- 1. 서론 김병광 2018.02.08 2049
403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Ⅲ. 신체활동- 권고사항 김병광 2018.02.06 2040
402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Ⅱ. 음주- 2. 본론 6) 음주 문제 및 상담치료 7) 음주 문제 환자의 의뢰 김병광 2018.02.05 2091
401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Ⅱ. 음주- 2. 본론 4) 가족 중심의 진료 접근 5) 약물치료 김병광 2018.02.05 2113
400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Ⅱ. 음주- 2. 본론 3) 일차의료에서 음주 문제에 대한 평가와 개입 김병광 2018.02.01 2105
399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Ⅱ. 음주- 2. 본론 2) 음주문제 선별 김병광 2018.01.30 2090
398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Ⅱ. 음주- 1. 서론 2. 본론 1) 역학 및 임상적 특징 김병광 2018.01.30 2046
397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Ⅱ. 음주- 권고사항 김병광 2018.01.26 2002
396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Ⅰ. 금연- 2. 본론 4) 금연상담 김병광 2018.01.26 2107
395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Ⅰ. 금연- 2. 본론 3) 금연약물요법 김병광 2018.01.25 2072
394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Ⅰ. 금연- 2. 본론 3) 금연약물요법 김병광 2018.01.24 2065
393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Ⅰ. 금연- 2. 본론 2) 니코틴 의존도 평가 김병광 2018.01.21 2046
392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Ⅰ. 금연- 2. 본론 1) 금연진료지침 김병광 2018.01.21 2054
391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Ⅰ. 금연- 1. 서론 김병광 2018.01.21 2024
390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Ⅰ. 금연- 권고사항 김병광 2018.01.21 2097
389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기타 관련 질환 Ⅱ. 수면무호흡증 2. 본론 8) 치료 김병광 2018.01.20 2105
388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기타 관련 질환 Ⅱ. 수면무호흡증 2. 본론 5) 페쇄성 수면무호흡증의 검사 및 적응증, 병리기전, 동반질환 김병광 2018.01.19 213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