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레스테롤
2011.11.25 06:20

콜레스테롤에 대한 기초상식 - 2

조회 수 1419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5. 콜레스테롤의 역할은?

   콜레스테롤은 인체 세포의 세포막 구성성분이기도 하며, 중요한 에너지원도 됩니

   다. 따라서 콜레스테롤은 우리 몸속에 늘 적당량만 있어야 합니다.

   콜레스테롤 역할은

      ① 인체세포의 세포막 구성성분이며 중요한 에너지원도 됩니다.

      ② 성호르몬과 부신피질호르몬의 원료가 됩니다.

      ③ 담즙산의 원료가 됩니다.

   ☎ 간에서만 콜레스테롤을 분해할 수 있으며 간에서 분해된 콜레스테롤의

      최종산물은 담즙산으로 배출 됩니다.

      장에서 배출된 담즙은 약 90%가 다시 간으로 흡수됩니다.

6.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HDL-C)과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LDL-C)이란?

  1) HDL-C은 죽상동맥경화증을 막는다고 해서 좋은 콜레스테롤이라 합니다.

     좋은 콜레스테롤은 말초장기에서 간으로 콜레스테롤을 운반합니다.

      HDL-C이 죽상경화를 억제하는 작용은 다음의 3가지 작용에 의합니다.

        ① 콜레스테롤 유출(cholesterol Efflux) - 세포에 있는 콜레스테롤을

               대식세포와 HDL-C의해 콜레스테롤에 의해 퍼내는 작용을 합니다.

        ② 콜레스테롤 역수송작용(reversed cholesterol transport) - 이 퍼낸

               과잉 콜레스테롤을 간으로 가지고가는 역할을 합니다.

        ③ 항염증, 항산화작용 - LDL이 산화되는 것을 저지하는 항염증작용과

               직접적으로 동맥벽의 염증성 반응을 억제하는 항염증작용이 있습니

               다. 즉 죽상경화반에 직접 작용하여 죽상경화의 발생을 억제합니다.

     ☎ HDL-C이 낮아지는 경우는

        흡연, 비만, 과식, 음주, 운동부족, 당뇨병 등이 있습니다.

  2) LDL-C은 죽상동맥 경화증을 일으킨다고 해서 나쁜 콜레스테롤이라 합니다.

     LDL-C은 간에서 말초장기로 콜레스테롤을 운반합니다.

     대개는 LDL숫자와 LDL전체가 가지고 있는 콜레스테롤이 비례하고 있기 때문에

     LDL-C이 높으면 죽상동맥경화증이 잘 걸리게 됩니다.

     ☎ HDL과 LDL은 일종의 트럭이라고 생각 할 수 있습니다.

        혈관에 있는 나쁜 기름을 간으로 가서 태워버리는 운반도구가 HDL,

        간에 있는 콜레스테롤을 혈관으로 운반하는 것이 LDL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LDL-C가 가장 낮고 HDL-C이 가장 높을 때 질환의 발생이 가장 낮습니다.

     그러므로 LDL-C를 낮추는 것도 중요하지만 HDL-C을 높이는 것도 중요합니다.

 

7. 중성지방의 역할은?

   ① 포도당과 더불어 세포의 중요한 에너지원으로 사용됩니다.

   ② 음식으로 흡수되기도 하며 간에서 합성되기도 합니다.

      간에서 합성 된 중성지방은 VLDL에 의해, 음식으로 유입된 중성지방은

      유미입자(chylomicron)에 의해 운반됩니다.

   ③ 식이 중성산은 모두 중성지방을 만들 수 있으며 탄수화물을 많이 섭취해도

      중성지방이 많이 합성됩니다.

   ☎ 중성지방의 증가되는 경우는

      음주, 운동부족, 비만, 과식, 인슐린 저항성과 당뇨병 등이 있습니다.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47 당뇨병 당뇨병 관리 1. 식사요법 김병광 2011.05.02 16514
446 당뇨병 당뇨관리 1. 식사요법 - 식품교환표를 이용한 칼로리 계산법 김병광 2011.05.02 24499
445 당뇨병 당뇨관리 1. 식사뇨법 - 식품교환표를 이용하기 어려우신분들(특히 노인분들) 김병광 2011.05.02 17061
444 돌연사 돌연사(심장 및 뇌혈관 질환의 예방을 위하여) - 1 김병광 2011.05.08 15280
443 돌연사 돌연사(심장 및 뇌혈관 질환의 예방을 위하여) - 2 김병광 2011.05.09 15566
442 돌연사 돌연사(심장 및 뇌혈관 질환의 예방을 위하여) - 3 김병광 2011.05.09 14094
441 돌연사 돌연사(심장 및 뇌혈관 질환의 예방을 위하여) - 4 김병광 2011.05.09 14408
440 당뇨병 당뇨전단계 - 1 김병광 2011.07.06 18748
439 당뇨병 당뇨전단계 - 2 김병광 2011.07.07 18109
438 기타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감염된 사람은 모두 치료해야 하나? 김병광 2011.07.21 23091
437 기타 난치성 아토피피부염 환자 및 보호자에 대한 권고안(2011년 8월12일) 김병광 2011.08.27 22745
436 당뇨병 1. 당뇨병 선별검사 김병광 2011.09.01 22348
435 당뇨병 2. 당뇨병의 진단기준 3. 임신성당뇨병의 진단기준 김병광 2011.09.02 24511
434 당뇨병 4. 당뇨병의 분류 김병광 2011.09.08 21130
433 당뇨병 5. 당뇨병의 예방 6. 대사증후군의 진단기준 김병광 2011.09.08 18432
432 당뇨병 7. 혈당조절 목표 8. 혈당조절의 모니터링 및 평가 5 김병광 2011.09.09 20488
431 당뇨병 9. 당뇨병환자의 임상영양요법 김병광 2011.09.15 17855
430 당뇨병 10. 당뇨환자에서 운동요법 김병광 2011.09.16 17341
429 당뇨병 11. 당뇨병 치료제 - 경구약제 김병광 2011.09.17 17697
428 당뇨병 12. 당뇨병 치료제 - 인슈린 (언제 인슈린요법을 시행하여야 하나?) 김병광 2011.09.20 1973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