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레스테롤
2011.11.23 04:10

콜레스테롤에 대한 기초상식 - 1

조회 수 16092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 고지혈증(Hyperlipidemia)이란 ?

   우리 몸의 혈액 속에 지방질, 즉 콜레스테롤(cholesterol)이나

   중성지방triglyceride) 등의 물질이 과다하게 많이 함유되어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2. 고지혈증의 문제점은?

   동맥벽에 지방질이 쌓여서 혈관의 탄력이 줄어 단단해지고 좁아지는 동맥경화성

   질환을 일으키게 됩니다.

   동맥경화에 대한 대표적인 질환은 심근경색과 같은 심장질환과 뇌졸중입니다.

☎ 그러므로 고지혈증은 증상이없지만 장기적으로 동맥경화증을 발생시킬 위험이

   있어 심장질환이나 뇌혈관질환이 생길 가능성이 있으므로 당장 불편함이 느껴지지

   않더라도 정기적으로 검사해서 높으신 사람은 미리 조절해야 합니다.

 

3. 지질검사 어떤것을 검사하나?

   대부분 다음과 같이 4가지를 검사합니다.

   1) 총 콜레스테롤 - 보통 알고있는 콜레스테롤 수치는 총 콜레스테롤치를 말하며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LDL-C),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HDL-C) 그리고

      기타 지단백에 결합된 콜레스테롤을 모두 합하여 계산된 수치입니다..

   2)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HDL-C)은 좋은 콜레스테롤이라 부릅니다.

   3)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LDL-C)은 나쁜 콜레스테롤이라 부릅니다..

      LDL-C에는 Lp(a)와 ILD-C의 수치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4) 중성지방

☎ 콜레스테롤은 대부분 간에서 만들어 짐니다.

   총콜레스테롤과 HDL-C은 식후에도 측정이 가능하나 중성지방이나 LDL-C은

   12시간 금식이 필요합니다.

 

4. 지단백(lipoprotein)이란?

   지질(콜레스테롤이나 중성지방)은 물에 잘 녹지 않기 때문에 혈액 속에서

   운반하기 위해서는 지단백(lipoprotein)이라고 하는 몇 가지 단백질과 결합된

   상태로 운반되는데, 이 운반 단백질의 종류에 따라 하는 역할이 약간씩 다릅니다.

   1) 유미미립은 음식으로 유입된 중성지방을 특히 지방조직으로 운반합니다.

      그러므로 주로 소장에서 만들어집니다.

   2) 초저밀도지단백(VLDL)은 주로 간에서 합성된 중성지방은 말초조직으로

      운반됩니다. IDL을 거쳐 LDL로 전환됩니다.

   3) IDL은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이 많이 포함됩니다.

      VLDL과 유미미립이 분해되는 과정 중 만들어지며 초저밀도 지단백보다

      중성지방은 적게, 콜레스테롤은 많이 포함되면 콜레스테롤의 간으로 회수와

      LDL을 만드는데 쓰입니다.

   4) HDL은 구급차량으로 혈관이나 몸속에 자갈처럼 흩어져있는 콜레스테롤을

      간으로 운반 하고 답즙산 으로 배설합니다. 간과 소장에서 만들어 집니다.

   5) LDL은 간에 저장되어 있는 콜레스테롤을 피 속으로 운반도중 때로는 혈관을

      손상 시킵니다. 총 혈장 콜레스테롤의 70%를 수용합니다.

   ☎ 중성지방의 90%이상은 VLDL에 존재하는 반면에

      콜레스테롤의 대부분은 LDL과 HDL에 존재합니다.

      저밀도지단백(LDL)에 결합된 콜레스테롤(LDL-콜레스테롤)은 낮을수록 좋기

      때문에 ‘나쁜 콜레스테롤’이라 불리우고,

      고밀도지단백(HDL)에 결합된 콜레스테롤(HDL-콜레스테롤)은 높을수록 좋기

      때문에 ‘좋은 콜레스테롤’이라고 불립니다.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7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Ⅰ. 금연- 권고사항 김병광 2018.01.21 2097
406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Ⅱ. 음주- 2. 본론 3) 일차의료에서 음주 문제에 대한 평가와 개입 김병광 2018.02.01 2105
405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기타 관련 질환 Ⅱ. 수면무호흡증 2. 본론 8) 치료 김병광 2018.01.20 2105
404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Ⅰ. 금연- 2. 본론 4) 금연상담 김병광 2018.01.26 2107
403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Ⅱ. 음주- 2. 본론 4) 가족 중심의 진료 접근 5) 약물치료 김병광 2018.02.05 2113
402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 Ⅱ. 불안증 - 3. 불안장애의 치료3) 약물선택 및 약물치료의 기간 김병광 2018.01.12 2119
401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Ⅳ. 식생활 - 2. 본론 3. 요약 김병광 2018.02.19 2131
400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기타 관련 질환 Ⅱ. 수면무호흡증 2. 본론 5) 페쇄성 수면무호흡증의 검사 및 적응증, 병리기전, 동반질환 김병광 2018.01.19 2133
399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Ⅲ. 신체활동 - 2. 본론 2) ADVISE (1) 유산소 운동 원칙 (2) 근력운동 원칙 김병광 2018.02.09 2143
398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Ⅲ. 신체활동 - 2.본론2) ADVISE (3) 준비운동과 정리운동 원칙 (4) 65세 이상 노인에서의 신체활동 원칙 김병광 2018.02.10 2143
397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Ⅳ. 식생활 - 1. 본론 1) 적정체중을 유지할 정도의 음식섭취를 한다 2) 지방 김병광 2018.02.15 2143
396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1. 아스피린 예방요법 2. 본론 김병광 2018.02.20 2166
395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1. 아스피린 예방요법 2. 본론 1. 아스피린 예방요법의 근거 김병광 2018.02.20 2168
394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기타 관련 질환 Ⅰ. 발기부전 - 1. 본론 2) 발기부전 환자의 진단,3) PDE5억제제 사용지침 김병광 2018.01.17 2179
393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Ⅱ. 경동맥 초음파 검사- 1. 서론 김병광 2018.03.05 2207
392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 Ⅱ. 불안증 - 3. 불안장애의 치료2) 약물요법 김병광 2018.01.11 2216
391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Ⅱ. 심방세동 항응고 요법 - 권고사항 김병광 2018.02.21 2217
390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Ⅰ. 맥파전달속도 및 발목상완지수 김병광 2018.03.03 2220
389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Ⅱ. 심방세동 항응고 요법 -2. 본론 김병광 2018.02.22 2243
388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Ⅱ. 경동맥 초음파 검사- 2. 본론 김병광 2018.03.05 228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