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230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7. 천식을 치료하는 약물

   천식치료약물은 흡입약물과 먹는 약물이 있습니다.

   흡입약물은 기관지에 직접 전달되어 적은 양으로 효과가 빠르고 부작용

   이 훨씬 적습니다.

 1) 천식치료 약물은 2종류가 있습니다.

   ⑴ 천식 조절제

     ① 기관지 염증을 가라앉히기 위해 매일 규칙적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② 증상이 없어도 꾸준히 사용해야 합니다

     ③ 증상 완화제보다 효과가 서서히 나타나지만 장기적으로 천식을

        치료하는 약물입니다. 

   ⑵ 증상 완화제

     ① 천식 증상이 갑자기 심해질 때에만 응급약물로 사용합니다.

     ② 천식조절제 없이 증상 완화제만 사용하면 천식이 악화되거나

        사망할 수 도 있습니다.

 

8. 천식 증상이 심해지는 것을 피하려면?

   천식은 증상이 갑자기 나타나고 심해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특히 다음 여러 요인들에 노출되었을 때 증상이 나빠지므로 주의하여야

    합니다.

 1) 알레르기 원인물질

    ① 집먼지 진드기 ② 애완동물 털과 비듬 ③ 꽃가루 ④ 곰팡이

 2) 기관지 자극물질

    ① 흡연 ② 대기오염 ③ 찬바람 ④ 스프레이(자극적인 냄새)

 3) 그외 흔한 요인들

    ① 운동 ② 감기 ③ 비염 ④ 일부 약물 등

 ☎ 알레르기 원인물질 줄이는 방법

    ① 집안에서 카펫, 천소파, 커튼 등을 가급적 사요d하지 않습니다.

    ② 실내온도와 습도를 낮추도록 합니다.

    ③ 베개와 침구는 매주 뜨거운 물(섭씨 55도 이상)로 세탁합니다.

    ④ 천으로 된 완구를 침실에 두지 말고, 매주 뜨거운 물(섭씨 55도

       이상)로 세탁합니다.

    ⑤ 털을 가진 애완동물을 기르지 않습니다.

    ⑥ 꽃가루가 많이 날릴 때는 창문을 닫고 외출을 삼가도록 합니다.

    ⑦ 실내에 곰팡이가 자라지 않도록 환졍을 깨끗이 유지합니다.

    ⑧ 바퀴벌레를 없애도록 합니다.

 

9. 생활 속에서 주의할 점

 1) 천식환자가 운동을 할 때는

    ① 천식환자도 얼마든지 운동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 천식이 조절되지 않을 때에는 운동을 하면 천식증상이

       나빠질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합니다.

    ② 특히 차고 건조한 날씨, 달리기나 축구 등 격렬한 운동을 하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③ 은동 전 준비운동을 충분히 하고 증상완화제를 예방적으로

       미리 흡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2) 피해야할 음식은?

    대부분의 경우 음식이 문제가 되는 경우는 드뭅니다.

    간혹 맥주, 와인, 건조과일 등에 함유된 식품첨가물이 증상을 악화시키

    기도 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10. 소아. 청소년 천식

 1) 알레르기 행진

    알레르기 체질을 가진 아이가 식품알레르기(소화기 증상: 구토, 설사

    등) → 아토피 피부염 → 반복되는 호흡기 감염 → 천식 → 알레르기

    비염이 행진하듯이 순서대로 나타나는 현상을 말합니다.

 ☎ 소아천식과 성인천식의 차이

   1. 즉 소아의 호흡기는 어른과 다릅니다.

      ⑴ 성인보다 가래가 많이 생기게 됩니다.

      ⑵ 성인보다 허파꽈리가 작아서 산소교환능력이 작습니다.

      ⑶ 성인보다 호흡근육이 미숙하여 심한 호흡곤란이 오고 약물에도

        효과가 적습니다.

   2. 호흡곤란이 없이 기침만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3. 성장하면서 자연 소실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4. 조기치료하면 대부분 완치할 수 있습니다.

   5. 바이러스 감염(감기)에 의해 자주 악화됩니다.

 

 

                                                                             출처: 보건복지부/한국 천식알레르기 협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7 B형간염 Ⅱ. B형간염의 예방 김병광 2012.05.03 12210
366 B형간염 Ⅲ. B형간염의 진단 및 초기 평가는? 김병광 2012.05.08 14952
365 B형간염 Ⅳ. 만성 B형간염의 치료 목표와 치료대상자는 ? 김병광 2012.05.08 12639
364 B형간염 Ⅴ. 치료 약제와 치료전략 - 1 3 김병광 2012.05.11 11911
363 B형간염 Ⅴ. 치료 약제와 치료전략 - 2 김병광 2012.05.11 12240
362 B형간염 Ⅵ. 치료 중 어떠한 항목을 모니터링 해야 하고 치료종료는 언제하나? 김병광 2012.05.15 12557
361 B형간염 Ⅷ. 항바이러스 내성치료의 일반적인 원칙과 약제별 내성치료 김병광 2012.05.19 12726
360 B형간염 Ⅸ. B형간염 경구용 항바이러스제 치료 중 치료반응 대한 예측인자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김병광 2012.05.25 12694
359 B형간염 Ⅹ. 특정질환군에서의 치료 - 1 김병광 2012.06.09 12222
358 B형간염 Ⅹ. 특정질환군에서의 치료 - 2 김병광 2012.06.12 12347
357 기타 당뇨병성 콩팥병 3 김병광 2012.07.10 14277
356 기타 고혈압성 콩팥병 김병광 2012.09.05 12527
355 기타 만성콩팥병 예방과 관리를 위한 9대 생활수칙 김병광 2012.10.25 11982
354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의 평가와 분류 Ⅰ. 만성 신질환의 정의와 단계 4 김병광 2012.11.16 12704
353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의 평가 및 분류 Ⅱ. 만성 신질환의 검진대상 김병광 2012.11.26 11388
352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의 평가 및 분류 Ⅲ. 만성 신질환 환자의 신장내과 의뢰 권고안 Ⅳ. 사구체 여과율의 평가 Ⅴ. 단백뇨의 평가 4 김병광 2012.11.28 16847
351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고혈압의 치료지침 1. 만성 신질환에서 고혈압의 치료목적 Ⅱ. 만성 신질환과 고혈압 환자의 평가 김병광 2012.12.03 11062
350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고혈압의 치료지침 Ⅲ. 고혈압의 측정 Ⅳ. 신동맥질환 평가 김병광 2012.12.10 10265
349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환자에서 고혈압의 진료지침 Ⅴ. 만성신질환의 고혈압에서 식이요법과 생활습관개선 김병광 2012.12.21 10934
348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고혈압의 치료지침 Ⅵ. 약물요법: 만성 신질환에서 항고혈압제의 사용 김병광 2012.12.24 1058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