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2011.10.17 00:18

29. 소아청소년기 당뇨병

조회 수 1761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 비만한 제2형 당뇨병 소아에서는

    적극적인 식사, 운동요법, 가족중심의 행동치료가 필요하며

    건강한 체중을 도달하고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2. 과체중을 가진 소아에게 10세 이상 또는 더 적은 연령이더라도

    사춘기로 판단되면 다음 조건에 2가지 이상이 있을 경우

    3년에 한번 씩 제2형 선별검사의 시행을 고려해봐야 합니다.

    ⑴ 제2형 당뇨병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⑵ 인슈린 저항성의 증상

       또는 징후가 있는 경우(흑색극 세포증,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다낭낭소증후군, 저체중태아)

    ⑶ 태아시기에 산모의 당뇨병 또는 임신성 당뇨병에 노출된 경우

 3. 매우 비만한 소아(성별, 연령별에 따른 체질량지수 99백분위수 이상)

    에서 태아시기에 산모의 당뇨병 또는 임신성 당뇨병에 노출된 경우에는

    매년 경구당부하검사의 실시를 고려해봐야 합니다.

 4. 제2형 당뇨병 소아에서 당화혈색소 목표는 6.5% 이하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5. 제2형 당뇨병 소아에서 당화혈색소가 9.0% 이상이거나 케톤상혈증과

    같은 심각한 대사이상이 동반되면 인슐린 치료를 시작해야 합니다.

    만약 혈당이 목표수치 내로 안정화되고 좋은 생활습관이 유지된다면

    인슐린 치료로부터 벗어날 수 있습니다.

 6. 생활습관교정을 3-6개월 했음에도 혈당목표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

    메트포르민 투여를 시작하거나 인슐린치료를 시작해야 합니다.

    메트포르민은 당뇨병 진단 시점에서 6.5%이상일 경우 처음부터 투여

    할 수 있습니다.

 7. 제2형 당뇨병 소아는 진단 5년 이후부터

    미세혈관합병증(신증, 망막증, 신경병증)에 대한 선별검사를

    진단시점부터 매년 실시하는 것을 고려해야 합니다.

 8. 제2형 당뇨병 소아에서 지속적인 단백뇨가 있을 경우(6-12개월 내에

    3번의 검체 중 2번 이상에서 양성일 경우)원인분석과 치료를 위해

    소아신장내과 전문의에게 의뢰하는 것을 고려해야 합니다.

 9. 제2형 당뇨병 소아에서 진단시점에 지질수치 검사를 실시하며

    임상적으로 필요하면 1-3년 마다 지질 검사하는 것을 고려해야 합니다.

10. 제2형 당뇨병 소아에서 진단시점에 고혈압 여부를 확인하며

    진료 시 마다(최소 년2회)혈압을 측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출처: 당료진료지침 2011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27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Ⅰ. 맥파전달속도 및 발목상완지수 2. 본론 1) 맥파 전달 속도 검사 김병광 2018.03.03 2560
426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Ⅰ. 맥파전달속도 및 발목상완지수 김병광 2018.03.03 2220
425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Ⅰ. 맥파전달속도 및 발목상완지수 - 권고사항 김병광 2018.02.23 2545
424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Ⅱ. 심방세동 항응고 요법 -2. 본론 김병광 2018.02.22 2286
423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Ⅱ. 심방세동 항응고 요법 -2. 본론 김병광 2018.02.22 2243
422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Ⅱ. 심방세동 항응고 요법 -1. 서론 김병광 2018.02.21 2301
421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Ⅱ. 심방세동 항응고 요법 - 권고사항 김병광 2018.02.21 2217
420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1. 아스피린 예방요법 2. 본론 김병광 2018.02.20 2503
419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1. 아스피린 예방요법 2. 본론 김병광 2018.02.20 2166
418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1. 아스피린 예방요법 2. 본론 1. 아스피린 예방요법의 근거 김병광 2018.02.20 2168
417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1. 아스피린 예방요법 1. 서론 김병광 2018.02.19 2059
416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1. 아스피린 예방요법 - 권고사항 김병광 2018.02.19 2071
415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Ⅳ. 식생활 - 2. 본론 3. 요약 김병광 2018.02.19 2131
414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Ⅳ. 식생활 - 1. 본론 3) 소금 김병광 2018.02.15 2080
413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Ⅳ. 식생활 - 1. 본론 1) 적정체중을 유지할 정도의 음식섭취를 한다 2) 지방 김병광 2018.02.15 2143
412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Ⅳ. 식생활 - 1. 서론 김병광 2018.02.11 2076
411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Ⅳ. 식생활 - 권고사항 김병광 2018.02.11 2062
410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Ⅲ. 신체활동 - 2.본론 4) ASSIST 5) ARRANGE 3. 요약 김병광 2018.02.11 2083
409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Ⅲ. 신체활동 - 2.본론 3) AGREE 김병광 2018.02.11 2084
408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Ⅲ. 신체활동 - 2.본론 2) ADVISE (5) 특정 환자 군에서의 주의점 김병광 2018.02.10 206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