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2011.09.17 14:50

11. 당뇨병 치료제 - 경구약제

조회 수 1769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 초기치료 원칙

  1) 당뇨병성 합병증의 예방을 위하여 정상수준으로 철저하게 혈당을

     조절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적극적인 생활습관개선과 함께 당뇨병 진단 후

     초기에 적극적인 약제투여가 필요합니다.

     ☎ 고혈당의 노출기간과 당뇨병의 합병증의 발생은 상관관계가

        있어 노출기간이 길으면 길수록 합병증 발생이 증가합니다.

  2) 혈당조절 목표는 당화혈색소를 평가하는 것으로 하며

     목표는 6.5%이하입니다.

  3) 생활습관개선으로 2-3개월 내에 혈당조절의 목표에 도달하지

     못하면 약제투여를 시작해야 합니다.

     ☎ 생활습관으로 당화혈색소치가 1-1.5%정도 낮출수 있으므로

        초기에 당화혈색소가 7.5-8% 정도면 생활습관개선과 동시에

        약제를 바로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4) 심한 고혈당의 경우 생활습관개선과 함께 메트포르민을 포함한

     약제치료를 진단부터 복용하는 것을 고려해야 합니다.

  5) 환자의 임상적 특성, 약제의 작용기전 및 효능, 비용 및 안전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약제를 선택해야 합니다.

  6) 경구혈당강하제 단독요법의 실패는 생활습관개선과 함께 최대용량으로

     3-6개월 이내에 당화혈색소의 목표치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로

     정의하고 이때는 적극적인 병합요법을 시작합니다.

 

2. 약물 병합요법

  1) 단독요법으로 혈당조절 목표에 실패할 경우 용량을 늘리거나

     작용기전이 다른 약제로 병합요법을 시행하여야 합니다.

  2) 혈당조절상태에 따라 단독요법 실패 전에도 조기병합요법을

     시행하여야 합니다.

  3) 환자에 따라 처음부터 병합요법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4) 병합요법 실패시 인슐린 치료가 추천되나 환자의 특성과 상황에 따라

     약제 변경, 3제 병합요법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 경구혈당강하제는 그 작용기전에 따라 5가지로 분류됩니다.

  1) 베타세포로부터 인슐린분비를 직접 자극하는 sulfonyurea (non-   

     sulfonyurea 포함)

  2) 간 에서 포도당 합성을 억지하는 biguanide계

  3) 장에서 포도당 흡수를 억제하는 a-glucosidase inhibitor계

  4) 말초의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 시키는 thiazolidinedione 계

  5) 인크레틴 효과를 증강시키는 GLP-1 agonist, DPP IV inhibitor 

     등이 있습니다.

  ☎ 그러나 제2형 당뇨병 환자들의 혈당조절을 위해서는 병합요법이

     필요하고 이는 일시적으로 혈당을 개선시키지만

     당뇨병은 천천히 진행되는 질환이므로(인슈린 저항성과 베타세포의

     기능장애) 이환기간이 15년 이상인 환자에의 50%에서 인슈린을

     투여 받게 됩니다.

 

 

                                     처: 당뇨병 진료지침 2011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47 콜레스테롤 이상지질혈증 치료지침 4판 제2장 이상지질혈증의 진단 및 치료기준 3. 경과 모니터링 김병광 2019.08.07 410
446 콜레스테롤 이상지질혈증 치료지침 4판 제2장 이상지질혈증의 진단 및 치료기준 2. 치료기준 김병광 2019.08.07 391
445 콜레스테롤 이상지질혈증 치료지침 4판 제2장 이상지질혈증의 진단 및 치료기준 2. 치료기준 김병광 2019.08.06 409
444 콜레스테롤 이상지질혈증 치료지침 4판 제2장 이상지질혈증의 진단 및 치료기준 2. 치료기준 김병광 2019.08.05 409
443 콜레스테롤 이상지질혈증 치료지침 4판 제2장 이상지질혈증의 진단 및 치료기준 1. 진단 방법 및 진단기준 김병광 2019.08.03 564
442 콜레스테롤 이상지질혈증 치료지침 4판 1장 한국인 이상지질혈증의 역학 3. 한국인의 지질 농도 분포 김병광 2019.08.03 402
441 콜레스테롤 이상지질혈증 치료지침 4판 1장 한국인 이상지질혈증의 역학 2. 한국인 심혈관계질환의 위험요인과 위험도 평가 김병광 2019.08.03 389
440 콜레스테롤 이상지질혈증 치료지침 4판 1장 한국인 이상지질혈증의 역학 1. 한국인 심혈관질환의 현황 김병광 2019.08.03 360
439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Ⅳ. 뇌 MRI 및 MRA 검사 2. 본론 김병광 2018.03.19 2611
438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Ⅳ. 뇌 MRI 및 MRA 검사 - 권고사항 김병광 2018.03.19 2303
437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Ⅲ. 관상동맥 CT검사 - 2. 본론 김병광 2018.03.18 2357
436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Ⅲ. 관상동맥 CT검사 - 2. 본론 김병광 2018.03.17 2510
435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Ⅲ. 관상동맥 CT검사 - 권고사항 1. 서론 김병광 2018.03.15 2549
434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Ⅱ. 경동맥 초음파 검사- 2. 본론 3) 경동맥 내막매질 두께와 플라크의 임상적 응용 김병광 2018.03.14 2805
433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Ⅱ. 경동맥 초음파 검사- 2. 본론2) 경동맥 초음파 측정방법 김병광 2018.03.06 2674
432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Ⅱ. 경동맥 초음파 검사- 2. 본론 1) 진료지침 응용 김병광 2018.03.06 3117
431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Ⅱ. 경동맥 초음파 검사- 2. 본론 김병광 2018.03.05 2282
430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Ⅱ. 경동맥 초음파 검사- 1. 서론 김병광 2018.03.05 2207
429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Ⅱ. 경동맥 초음파 검사- 권고사항 김병광 2018.03.05 2301
428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Ⅰ. 맥파전달속도 및 발목상완지수 2. 본론 2) 발목 상완지수 김병광 2018.03.03 258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