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2011.09.16 02:56

10. 당뇨환자에서 운동요법

조회 수 1734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0 . 운동요법

   1) 혈당조절을 향상시키고 체중을 유지하며 심혈관위험을 감소하기 위해, 최소

      일주일에 150분 이상 중등도 강도(최대심박수의 50-70%)의 유산소 운동

      을 실천해야 합니다.  운동은 일주일에 적어도 3일이상 실시해야 하며 연속

      해서 2일 이상쉬지 않아야 합니다.

      최대 심박수는 220-나이로 계산합니다.

         유산소운동: 걷기, 자전거타기, 조깅, 수영 등

   2) 유산소 운동과 별도로 금기사항이 없는 한 일주일에 최소 2회 근력운동을

      실시합니다.

      저항성운동은 한번 할 때 1-3세트를 시행합니다. 1세트는 한동작을  8-15회

      반복해야 하며, 저항성 운동을 할 때 상체운동과 하체운동을 병행합니다.       ☎ 저항성운동: 역기나 웨이트 장비를 이용한 웨이트 트레닝 등

   3)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혈당관리및 체중관리를 위해 생활습관(영양요법 및

      운동요법)을 관리할 것을 권고 합니다.

   4) 특별한 금기가 없는 한 모든 당뇨을 가진 환자는 운동을 하여야 합니다. 그

      러나 생태에 따라 운동의 강도, 횟수등을 개별화해야 합니다.

   5) 조절되지 않은 고혈압, 심한 자율신경병증, 심한 말초신경병증 또는 족부병

      변의 병력 및 불안정 증식망막병증이 있는 경우에는 운동손상의 위험을 평가

      한후 필요하다면 특정 운동을 금기해야 합니다.

   6) 규칙적인 운동을 하면 혈당조절이 개선되고, 체중 조절에 도움이 되며,

      심혈관 위험인자를 감소시킬수 있으며 제2형당뇨병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당뇨병 동반질환에 따른 권장운동 및 금기운동

동반질환

권장운동

금기운동

당뇨병성

고혈압

걷기, 고정식 자전거 타기

맨손체조, 스트레칭

머리에 충격을 가하는 운동 역기들기, 과도한 근력운동

복싱

당뇨병성

심혈관 질환

고정식 자전거 타기

맨손체조, 가볍게 걷기

혈압을 상승시키는 운동(고혈압 참조),과도한 상체운동

당뇨병성

신증

맨손 체조, 가볍게 걷기,

고정식자전거 타기, 물속걷기

조깅, 줄넘기

고강도근력운동

당뇨병성

망막증

걷기, 고정식 자전거타지

스트레칭

머리에 충격을 가하는 운동

조깅, 라켓운동, 역기들기

복싱

당뇨병성

자율신경병증

고정식자전거 타기, 스트레칭 수영 및 수중운동

줄넘기, 조깅, 에어로빅

고강도의 근력운동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

고정식 자전거 타기,

맨손체조, 상체 에르고미터

맨발운동, 결렬한 구기 운동 수영, 고르지 못한 길 걷기

 

   7) 인슈린이나 인슈린 분비촉진제를 사용하는 경우 운동 전후의 혈당

      변화를 알 수 있도록 혈당측정을 시행하고 저혈당의 예방을 위해

      적절하게 약제를 감량하거나 간식을 추가하는 것이 좋습니다.

      ☎ 운동 전 혈당이 100mg/dl 미만인 경우 운동전 간식이 필요합니다.

  8) 적정 수준의 혈당과 체중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영양요법, 운동요법과 함께

     식사와 활동(운동)과 관련된 생활습관을 개선해야 합니다. 체중을 감량한

     후에 유지하려면 이러한생활습관개선(행동치료)을 적어도 1년 이상 지속해야

     합니다.

                    출처: 당뇨병 진료지침 2011/일차의료용 당뇨병 임상진료지침, 2019.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67 고혈압 혈압측정 3 김병광 2012.01.30 29104
466 기타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감염된 사람은 모두 치료해야 하나? 김병광 2011.07.21 23091
465 소화기질환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의 진단과 치료 가이드라인 - 2 3 김병광 2012.01.21 23768
464 소화기질환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의 진단과 치료 가이드라인 - 1 김병광 2012.01.21 19391
463 기타 항암식품 김병광 2012.01.16 18176
462 고혈압 특수질환에서의 고혈압: 8. 말초 동맥질환과 고혈압 9. 어린이와 청소년에서의 고혈압 10. 발기부전과 고혈압. 김병광 2012.02.22 17024
461 고혈압 특수질환에서의 고혈압: 6. 여성의 고혈압 7.대사증후군과 고혈압 1 김병광 2012.02.22 16083
460 고혈압 특수질환에서의 고혈압: 4. 뇌혈관 질환과 고혈압 5. 노인의 고혈압 3 김병광 2012.02.20 16243
459 고혈압 특수질환에서의 고혈압- 1. 심장질환과 고혈압 2.당뇨병과 고혈압 3. 신장병과 고혈압 4 김병광 2012.02.14 17328
458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Ⅷ.혈청요산농도의 추적관찰과 요약 김병광 2016.09.23 2821
457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Ⅵ. 급성통풍발작을 예방하기 위한 약물치료 김병광 2016.09.23 2737
456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Ⅴ. 급성통풍발작의 약물적 치료 김병광 2016.09.22 2880
455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Ⅳ. 무증상고요산혈증의 치료 김병광 2016.09.21 2542
454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Ⅲ. 통풍환자의 기본적인 치료원칙 2. 통풍의 교육 김병광 2016.09.21 2787
453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Ⅲ. 통풍환자의 기본적인 치료원칙 1. 진단 김병광 2016.09.21 2852
452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Ⅰ. 서론 김병광 2016.09.21 2518
451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Ⅶ. 통풍환자에서의 요산저하치료 김병광 2016.09.23 3416
450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 대한 기초상식(정리) 4 김병광 2011.12.08 14486
449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 대한 기초상식 - 6 2 김병광 2011.12.07 14360
448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 대한 기초상식 - 5 김병광 2011.12.05 1397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