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2011.09.16 02:56

10. 당뇨환자에서 운동요법

조회 수 1734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0 . 운동요법

   1) 혈당조절을 향상시키고 체중을 유지하며 심혈관위험을 감소하기 위해, 최소

      일주일에 150분 이상 중등도 강도(최대심박수의 50-70%)의 유산소 운동

      을 실천해야 합니다.  운동은 일주일에 적어도 3일이상 실시해야 하며 연속

      해서 2일 이상쉬지 않아야 합니다.

      최대 심박수는 220-나이로 계산합니다.

         유산소운동: 걷기, 자전거타기, 조깅, 수영 등

   2) 유산소 운동과 별도로 금기사항이 없는 한 일주일에 최소 2회 근력운동을

      실시합니다.

      저항성운동은 한번 할 때 1-3세트를 시행합니다. 1세트는 한동작을  8-15회

      반복해야 하며, 저항성 운동을 할 때 상체운동과 하체운동을 병행합니다.       ☎ 저항성운동: 역기나 웨이트 장비를 이용한 웨이트 트레닝 등

   3)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혈당관리및 체중관리를 위해 생활습관(영양요법 및

      운동요법)을 관리할 것을 권고 합니다.

   4) 특별한 금기가 없는 한 모든 당뇨을 가진 환자는 운동을 하여야 합니다. 그

      러나 생태에 따라 운동의 강도, 횟수등을 개별화해야 합니다.

   5) 조절되지 않은 고혈압, 심한 자율신경병증, 심한 말초신경병증 또는 족부병

      변의 병력 및 불안정 증식망막병증이 있는 경우에는 운동손상의 위험을 평가

      한후 필요하다면 특정 운동을 금기해야 합니다.

   6) 규칙적인 운동을 하면 혈당조절이 개선되고, 체중 조절에 도움이 되며,

      심혈관 위험인자를 감소시킬수 있으며 제2형당뇨병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당뇨병 동반질환에 따른 권장운동 및 금기운동

동반질환

권장운동

금기운동

당뇨병성

고혈압

걷기, 고정식 자전거 타기

맨손체조, 스트레칭

머리에 충격을 가하는 운동 역기들기, 과도한 근력운동

복싱

당뇨병성

심혈관 질환

고정식 자전거 타기

맨손체조, 가볍게 걷기

혈압을 상승시키는 운동(고혈압 참조),과도한 상체운동

당뇨병성

신증

맨손 체조, 가볍게 걷기,

고정식자전거 타기, 물속걷기

조깅, 줄넘기

고강도근력운동

당뇨병성

망막증

걷기, 고정식 자전거타지

스트레칭

머리에 충격을 가하는 운동

조깅, 라켓운동, 역기들기

복싱

당뇨병성

자율신경병증

고정식자전거 타기, 스트레칭 수영 및 수중운동

줄넘기, 조깅, 에어로빅

고강도의 근력운동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

고정식 자전거 타기,

맨손체조, 상체 에르고미터

맨발운동, 결렬한 구기 운동 수영, 고르지 못한 길 걷기

 

   7) 인슈린이나 인슈린 분비촉진제를 사용하는 경우 운동 전후의 혈당

      변화를 알 수 있도록 혈당측정을 시행하고 저혈당의 예방을 위해

      적절하게 약제를 감량하거나 간식을 추가하는 것이 좋습니다.

      ☎ 운동 전 혈당이 100mg/dl 미만인 경우 운동전 간식이 필요합니다.

  8) 적정 수준의 혈당과 체중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영양요법, 운동요법과 함께

     식사와 활동(운동)과 관련된 생활습관을 개선해야 합니다. 체중을 감량한

     후에 유지하려면 이러한생활습관개선(행동치료)을 적어도 1년 이상 지속해야

     합니다.

                    출처: 당뇨병 진료지침 2011/일차의료용 당뇨병 임상진료지침, 2019.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47 콜레스테롤 이상지질혈증 치료지침 4판 제3장 이상지질혈증의 생활요법 1. 식사요법 김병광 2019.08.08 389
446 콜레스테롤 이상지질혈증 치료지침 4판 제3장 이상지질혈증의 생활요법 1. 식사요법 김병광 2019.08.17 389
445 콜레스테롤 이상지질혈증 치료지침 4판 제2장 이상지질혈증의 진단 및 치료기준 2. 치료기준 김병광 2019.08.07 391
444 콜레스테롤 이상지질혈증 치료지침 4판 1장 한국인 이상지질혈증의 역학 3. 한국인의 지질 농도 분포 김병광 2019.08.03 402
443 콜레스테롤 이상지질혈증 치료지침 4판 제2장 이상지질혈증의 진단 및 치료기준 2. 치료기준 김병광 2019.08.05 409
442 콜레스테롤 이상지질혈증 치료지침 4판 제2장 이상지질혈증의 진단 및 치료기준 2. 치료기준 김병광 2019.08.06 409
441 콜레스테롤 이상지질혈증 치료지침 4판 제2장 이상지질혈증의 진단 및 치료기준 3. 경과 모니터링 김병광 2019.08.07 410
440 콜레스테롤 이상지질혈증 치료지침 4판 제2장 이상지질혈증의 진단 및 치료기준 1. 진단 방법 및 진단기준 김병광 2019.08.03 564
439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 Ⅲ. 스트레스 - 권고사항 김병광 2018.01.12 1978
438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 Ⅲ. 스트레스 - 2. 본론 김병광 2018.01.15 1990
437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 Ⅱ. 불안증 - 3. 불안장애의 치료 1) 비 약물요법 김병광 2018.01.09 1996
436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Ⅱ. 음주- 권고사항 김병광 2018.01.26 2002
435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 Ⅲ. 스트레스 -1. 서론 김병광 2018.01.13 2005
434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 Ⅱ. 불안증 - 2. 본론 1) 불안증의 선별 김병광 2018.01.05 2010
433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 Ⅱ. 불안증 - 2. 본론 2) 주요불안증의 임상양상 김병광 2018.01.05 2017
432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기타 관련 질환 Ⅱ. 수면무호흡증 2. 본론4) 병력 및 신체진찰, 김병광 2018.01.19 2017
431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Ⅰ. 금연- 1. 서론 김병광 2018.01.21 2024
430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기타 관련 질환 Ⅱ. 수면무호흡증 2. 본론 1)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정의, 역학, 위험인자 김병광 2018.01.19 2024
429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기타 관련 질환 Ⅰ. 발기부전 - 권고사항 1. 서론 2.본론 1) 일차 진료 발기부전 진료의 특징 김병광 2018.01.16 2028
428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 Ⅱ. 불안증 - 1. 서론 김병광 2017.12.08 203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