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2451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 당뇨병의 진단기준

  1) 정상혈당은 최소 8시간 이상 음식을 섭취하지 않은 상태에서

     공복 혈장 혈당 100mg/dl 미만이고

     75g 경구 당부하 2시간 후 혈장 혈당 140mg/dl 미만입니다.

  2) 공복혈당장애는 공복혈장혈당 100-125mg/dl 입니다.

  3) 내당능장애는 75g 경구당부하 2시간 후 혈장혈당 140-199mg/dl 입니다.

  4) 당화혈색소 5.7-6.4%에 해당하는 경우 당뇨병 고위험군으로 진단합니다.

  5) 다음 중 한 항목에 해당하면 당뇨병으로 진단합니다.

     ① 공복 혈장 혈당 ≥ 126mg/dl : 이 기준은 명백한 고혈당이 아니라다른

        날에 검사를 반복하여 확인해한다.

     ② 당뇨병의 전형적인 증상(다뇨, 다음, 설명 되지 않은 체중감소)과

        임의 혈장혈당 ≥ 200mg/dl 인 경우입니다.

     ③ 75g 경구당부하검사 후 2시간 혈장혈당 ≥ 200mg/dl 인 경우입니다.

     ④ 당화혈색소 ≥ 6.5%인 경우 입니다.


3. 임신성 당뇨병의 진단기준

 Ⅰ. 선별검사

   1) 모든 산모는 첫 산전 방문 시에 공복혈당, 무작위 혈당, 혹은

      당화혈색소측정을 통해 당뇨병 여부에 대한 검사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이전에 당뇨병이나 임신성 당뇨병으로 진단받지 않은 산모는

      임신24-28주에 2시간 75g 경구당부하검사를 시행을 고려합니다.

      (1단계 접근법)

   3) 기존의 2단계 접근법을 이용할 경우에는 50g 당부하 1시간 후 혈당

      140mg/dl 이상(고위험 산모의 경우 130mg/dl)이면 선별검사

      양성으로 판정하여 100g 경구 당부하검사 시행을 고려해야 합니다.

 Ⅱ. 진단기준

   1) 첫 번째 산전 방문검사 시 당뇨병의 일반진단 기준을 적용합니다.

      이 경우에 발견되는 경우 발견되는 당뇨병은 임신성 당뇨병이 아닌 기왕의

      당뇨병으로 규정합니다.

   2) 임신 24-28주 사이에 시행한 2시간 75g 경부당부하검사 결과 다음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하는 경우 임신성 당뇨병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1) 공복 혈장 혈당 ≥ 92mg/dl

     (2) 당부하 1시간 후 혈장 혈당 ≥ 180mg/dl

     (3) 당부하 2시간 후 혈장 혈당 ≥ 153mg/dl

   3) 기존의 2단계 접근법으로 100g 경구 당부하검사를 시행한 경우에는

      다음기준 중 2가지 이상을 만족하는 경우 임신성 당뇨병으로 진단할 수 있

      습니다.

     (1) 공복혈장 혈당 ≥ 95mg/dl

     (2) 당부하 1시간 후 혈장 혈당 ≥ 180mg/dl

     (3) 당부하 2시간 후 혈장 혈당 ≥ 155mg/dl

     (4) 당부하 3시간 후 혈장 혈당 ≥ 140mg/dl

 

     ☎ 임신성 당뇨병은

        임신성 고혈압, 분만 시 손상, 난산, 산모의 당뇨병 발생과 관련이

        있고

        거대아, 신생아 저혈당, 신생아 골절및 신경손상 등 주산기 합병증

        을 유발하며 장기적으로 자녀의 비만과 당뇨병의 위험을 증가시킵

        니다.

        따라서 임신성 당뇨병을 일찍 발견하여 치료함으로써 주산기

        이환률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출처: 당뇨병 진료지침 2011/일차의료용 당뇨병 임상진료지침 2019.1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47 콜레스테롤 이상지질혈증 치료지침 4판 제3장 이상지질혈증의 생활요법 1. 식사요법 김병광 2019.08.08 389
446 콜레스테롤 이상지질혈증 치료지침 4판 제3장 이상지질혈증의 생활요법 1. 식사요법 김병광 2019.08.17 389
445 콜레스테롤 이상지질혈증 치료지침 4판 제2장 이상지질혈증의 진단 및 치료기준 2. 치료기준 김병광 2019.08.07 391
444 콜레스테롤 이상지질혈증 치료지침 4판 1장 한국인 이상지질혈증의 역학 3. 한국인의 지질 농도 분포 김병광 2019.08.03 402
443 콜레스테롤 이상지질혈증 치료지침 4판 제2장 이상지질혈증의 진단 및 치료기준 2. 치료기준 김병광 2019.08.05 409
442 콜레스테롤 이상지질혈증 치료지침 4판 제2장 이상지질혈증의 진단 및 치료기준 2. 치료기준 김병광 2019.08.06 409
441 콜레스테롤 이상지질혈증 치료지침 4판 제2장 이상지질혈증의 진단 및 치료기준 3. 경과 모니터링 김병광 2019.08.07 410
440 콜레스테롤 이상지질혈증 치료지침 4판 제2장 이상지질혈증의 진단 및 치료기준 1. 진단 방법 및 진단기준 김병광 2019.08.03 564
439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 Ⅲ. 스트레스 - 권고사항 김병광 2018.01.12 1978
438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 Ⅲ. 스트레스 - 2. 본론 김병광 2018.01.15 1990
437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 Ⅱ. 불안증 - 3. 불안장애의 치료 1) 비 약물요법 김병광 2018.01.09 1996
436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Ⅱ. 음주- 권고사항 김병광 2018.01.26 2002
435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 Ⅲ. 스트레스 -1. 서론 김병광 2018.01.13 2005
434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 Ⅱ. 불안증 - 2. 본론 1) 불안증의 선별 김병광 2018.01.05 2010
433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 Ⅱ. 불안증 - 2. 본론 2) 주요불안증의 임상양상 김병광 2018.01.05 2017
432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기타 관련 질환 Ⅱ. 수면무호흡증 2. 본론4) 병력 및 신체진찰, 김병광 2018.01.19 2017
431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Ⅰ. 금연- 1. 서론 김병광 2018.01.21 2024
430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기타 관련 질환 Ⅱ. 수면무호흡증 2. 본론 1)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정의, 역학, 위험인자 김병광 2018.01.19 2024
429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기타 관련 질환 Ⅰ. 발기부전 - 권고사항 1. 서론 2.본론 1) 일차 진료 발기부전 진료의 특징 김병광 2018.01.16 2028
428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 Ⅱ. 불안증 - 1. 서론 김병광 2017.12.08 203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