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251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 본론

1) 관상동맥 칼슘 측정

      관상동맥 칼슘 수치는 EBCT 또는 MDCT 를 이용해서 3mm 두께 단면으로 촬영한 값을

      Agatstone 점수로 나타냄니다.

   Agatstone 방법은 관상동맥에 칼슘침착으로 인한 석화화 병변을 Hounsfield unit

   정도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한 후 면적을 곱하여 계산합니다.

1. 관상동맥 칼슘 수치의 계산

관상동맥 칼슘 수치의 밀도

    가중치

                 병변 점수

    130 ~ < 200 HU

    1

= 가중치 X 병변의 면적(mm²)

    200 ~ < 300 HU

    2

    300 ~ < 400 HU

    3

                    ≥ 400 HU

    4

     ◉ 관상동맥 칼슘수치: 3mm 두께 CT검사에서 관찰)되는 관상동맥 칼슘 병변의 밀도

        (Hounsfield)가중치에 각 병변의 곱을 한 값의 총합

    

       표 1.에서와 같이 관상동맥 칼슘수치는

                ①  ≥ 130(Hu) ②  ≥ 1mm²면적을 이용하여 계산합니다.

    측정된 관상동맥 칼슘수치는 조직학적 죽상경화 진행정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갖

        습니다.

    관상동맥 칼슘수치는 심장혈관의 전반적인 죽상경화성 플라크 정도를 평가하는데

        좋은 방법입니다. 하지만 관상동맥의 국소적인 협착이나 불안정반(Vulnerable

    plaque)을 반영하지는 못합니다.

2) 진료지침

  (1) 2013 미국심장학회/미국심장협회(ACC/AHA)

         스타틴 사용에 도움이 되는 4개 그룹 이외의 사람에 대한 치료 결정은 관상동맥

         칼슘점수와 같은 추가적인 검사를 통하여 결정할 것을 권고합니다.

    즉 관상동맥 칼슘수치 300단위이상 또는 연령, 성별, 인종에 따른 75백분위 이상

        의 경우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2013 ACC/AHA 진료지침에서는 스타틴 치료가 도움이 되는 4개 그룹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습니다.

           ① 기존 죽상경화성 심장질환이 있는 그룹

           ②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DL-C) 190mg/dL 인 그룹

           ③ 죽상 경화성 심장질환이 없고 LDL-C70~189mg/dL 40~75세의 당뇨병

                 환자그룹

           ④ 죽상경화성 심장질환과 당뇨병이 없고 LDL-C70-189mg/dL 이면서 Pooled

        Cohort Equation으로 계산한 10년 이내 죽상경화성 심장질환 위험성이 7.5%

        이상인 그룹입니다.

 (2) 유럽고혈압학회/유럽심장학회(ESH/ESC)

          심장혈관질환이 위험평가를 위해 관상동맥칼슘 수치 측정이 고려될 수 있습니

          다.

          관상동맥 석회화는 후기 무증상의 관상동맥 죽상경화증을 나타냅니다.

     또한 관상동맥 칼슘수치가 신체의 전반적인 죽상경화의 정도를 나타내는 표식자

          로 고려될 수 있습니다. 플라크의 불안정성 정도 또는 혈관의 국소적인 좁아짐을

          정밀하게 나타내지 못합니다. 하지만 음성예측도가 높아 급성관상동맥 증후군

          이나 심뇌혈관질환이 있는 사람에서 관상동맥 석회화가 관찰되지 않으면 관상동

          맥 질환의 가능성을 배제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심장질한 위험예측을 할 때

          전통적인 위험성과 관상동맥 칼슘수치를 포함한다면 예측도를 향상시킬 수 있습

          니다. 관상동맥 칼슘수치는 systematic coronary risk estimation(SCORE)

          의한 심장혈관질환 발생예측도의 5~10% 정도 설명력을 갖습니다.

 

           

                                               출처: 일차진료의를 위한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가이드라인(2).대한가정의학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4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Ⅳ. 뇌 MRI 및 MRA 검사 2. 본론 김병광 2018.03.19 2611
63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Ⅰ. 맥파전달속도 및 발목상완지수 2. 본론 2) 발목 상완지수 김병광 2018.03.03 2588
62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Ⅰ. 맥파전달속도 및 발목상완지수 2. 본론 1) 맥파 전달 속도 검사 김병광 2018.03.03 2560
61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Ⅲ. 관상동맥 CT검사 - 권고사항 1. 서론 김병광 2018.03.15 2549
60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Ⅰ. 맥파전달속도 및 발목상완지수 - 권고사항 김병광 2018.02.23 2545
»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Ⅲ. 관상동맥 CT검사 - 2. 본론 김병광 2018.03.17 2510
58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1. 아스피린 예방요법 2. 본론 김병광 2018.02.20 2503
57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Ⅲ. 관상동맥 CT검사 - 2. 본론 김병광 2018.03.18 2357
56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Ⅳ. 뇌 MRI 및 MRA 검사 - 권고사항 김병광 2018.03.19 2303
55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Ⅱ. 심방세동 항응고 요법 -1. 서론 김병광 2018.02.21 2301
54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Ⅱ. 경동맥 초음파 검사- 권고사항 김병광 2018.03.05 2301
53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Ⅱ. 심방세동 항응고 요법 -2. 본론 김병광 2018.02.22 2286
52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Ⅱ. 경동맥 초음파 검사- 2. 본론 김병광 2018.03.05 2282
51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Ⅱ. 심방세동 항응고 요법 -2. 본론 김병광 2018.02.22 2243
50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Ⅰ. 맥파전달속도 및 발목상완지수 김병광 2018.03.03 2220
49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Ⅱ. 심방세동 항응고 요법 - 권고사항 김병광 2018.02.21 2217
48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 Ⅱ. 불안증 - 3. 불안장애의 치료2) 약물요법 김병광 2018.01.11 2216
47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Ⅱ. 경동맥 초음파 검사- 1. 서론 김병광 2018.03.05 2207
46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기타 관련 질환 Ⅰ. 발기부전 - 1. 본론 2) 발기부전 환자의 진단,3) PDE5억제제 사용지침 김병광 2018.01.17 2179
45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1. 아스피린 예방요법 2. 본론 1. 아스피린 예방요법의 근거 김병광 2018.02.20 216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