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228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 본론

      경동맥내막매질두께는 심뇌혈관질환 발생의 대리표지자로 인식되고 임상현장에서

      심뇌혈관질환의 위험인자를 평가하는데 사용되기도 합니다.

   또한 경동맥플라크는 심뇌혈관질환 위험성평가에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합니다.  

      동맥벽은 죽상경화로 인한 무증상의 변화들이 먼저 발생한 후 현성의 심뇌혈관질환

      을 유발시킵니다.

   따라서 고해상도의 비침습성 검사를 이용하여 죽상경화성변화를 초기에 예측하고

      심뇌혈관의 발생을 방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것입니다.

   자기공명영상(MRI)나 컴프터단층촬영(CT)등도 사용될 수 있지만 경동맥초음파가

      이용하기 쉽고 심뇌혈관예측도가 높기 때문에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경동맥 초음파를 이용하면 내막매질 두께와 플라크 존재유무를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혈관 평활근 비대와 증식을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무증상의 지저질환이 없는 사람에게 일상적인 경동맥초음파 선별검사는 권

      고되지 않습니다.

      경동맥 내막매직 두께의 절단점은 대개 인구집단의 75백분수위를 기준으로 합니다

    국내에서는 이등이 시행한 45~74세의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75백분 수위

      의 총경동맥 절단점을 남자 0.821mm, 여자 0.778mm로 제시하였습니다. 또한 총경

      동맥의 내막매질두께는 남녀 모두에서 매년 0.007mm 증가한다고 보고하였습니다.

   유럽 심장학회 및 경동맥 내막매질 두께 절단점은 0.9mm입니다.

      경동맥 내막매질 두께는 초기 죽상경화증 뿐 아니라 죽상경화증성 변화가 아닌 평

      활근 세포증식과 비대와 같은 변화를 반영합니다. 위와같은 동맥벽의 변화를 초음

      파로 이용해 측정하면 미래의 심뇌혈관 발생가능성을 예측하는데 사용될 수 있습니

      다.

 

 

                                                    출처: 일차진료의를 위한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가이드라인(2).대한가정의학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4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 Ⅲ. 스트레스 - 권고사항 김병광 2018.01.12 1978
83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 Ⅲ. 스트레스 - 2. 본론 김병광 2018.01.15 1990
82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 Ⅱ. 불안증 - 3. 불안장애의 치료 1) 비 약물요법 김병광 2018.01.09 1996
81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Ⅱ. 음주- 권고사항 김병광 2018.01.26 2002
80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 Ⅲ. 스트레스 -1. 서론 김병광 2018.01.13 2005
79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 Ⅱ. 불안증 - 2. 본론 1) 불안증의 선별 김병광 2018.01.05 2010
78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 Ⅱ. 불안증 - 2. 본론 2) 주요불안증의 임상양상 김병광 2018.01.05 2017
77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기타 관련 질환 Ⅱ. 수면무호흡증 2. 본론4) 병력 및 신체진찰, 김병광 2018.01.19 2017
76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Ⅰ. 금연- 1. 서론 김병광 2018.01.21 2024
75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기타 관련 질환 Ⅱ. 수면무호흡증 2. 본론 1)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정의, 역학, 위험인자 김병광 2018.01.19 2024
74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기타 관련 질환 Ⅰ. 발기부전 - 권고사항 1. 서론 2.본론 1) 일차 진료 발기부전 진료의 특징 김병광 2018.01.16 2028
73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 Ⅱ. 불안증 - 1. 서론 김병광 2017.12.08 2030
72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Ⅲ. 신체활동- 권고사항 김병광 2018.02.06 2040
71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기타 관련 질환 Ⅱ. 수면무호흡증 - 권고사황 1. 서론 김병광 2018.01.17 2041
70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Ⅰ. 금연- 2. 본론 2) 니코틴 의존도 평가 김병광 2018.01.21 2046
69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Ⅱ. 음주- 1. 서론 2. 본론 1) 역학 및 임상적 특징 김병광 2018.01.30 2046
68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Ⅲ. 신체활동- 1. 서론 김병광 2018.02.08 2049
67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 Ⅱ. 불안증 - 2. 본론 2) 주요불안증의 임상양상 김병광 2018.01.08 2050
66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Ⅰ. 금연- 2. 본론 1) 금연진료지침 김병광 2018.01.21 2054
65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1. 아스피린 예방요법 1. 서론 김병광 2018.02.19 205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