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 본론

 4) 비만의 운동요법

    적절한 운동은 체지방 감소에 도움이 되며, 환자의 운동능력의 파악과 운동

    처방을 위해 운동 전 검사가 권장되며

    특히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등의 위험요인이 동반된 비만 환자의 경우

    운동 전 건강검사가 필수적입니다.

    적절한 운동처방은 운동유형, 강도, 지속시간, 빈도 등으로 구성됩니다.

  ⑴ 운동유형

   - 체중조절을 위해서는 유산소 운동과 근력운동을 결합하는 형태를 권장합니다.

   - 유산소 운동은 체지방을 소비하는데 효과적이며,

     근력운동에 비하여 안전성이 높지만 심장이 이상 있는 환자나 고령환자는

     사고 발생이 높으므로 주의해서 처방해야 합니다.

   - 근력운동은 기초대사량을 증가시켜 체지방을 감소시키고 체중을 증가하지

     않게끔 예방할 것으로 기대 됩니다.

   - 근력운동과 유산소운동을 병행한 경우에는 체중 감소효과가 있다는 것은

     이의가 없습니다. 근력운동도 체중감량이 이어지지 않더라도 이상지질혈증

     및 인슈린 저항성과 같은 심뇌혈관질환의 위험요인들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 운동의 종류는 과거의 운동경험이나 현재 여건에 맞게끔 도와주는 것이 바람

     직합니다.

     별도로 운동할 시간이 없는 경우 집에서 할수 있는 운동을 알아보고,

     운동장소를 정할 때 가능한 집이나 직장에서 가까운 곳을 선택하는 것이

     좋으며,

     개인적인 성향에 따라 혼자 하는 운동 또는 집단으로 하는 운동을 지정해서

     구체적으로 권유해 줄 수 있습니다.

   ⑵ 운동강도

      운동을 처음시작하는 경우 낮은 강도로 시작하여 일정하게 몇주 간격마다

      점차 늘려 중등도 이상의 강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합니다.

      중등도 강도 운동의 목표심박수는 최대심박수의 50 ~ 70%입니다.

      분당 심박수는 경(목)동맥이나 요골(팔목)동맥에서 10초간 측정해서 6을

      곱하면 구할 수 있습니다.

        최대심박수 = 220 -나이

        목표심박수 = (운동강도(%)/100)x 최대 심박수

   ⑶ 운동시간

    - 열량의 소비는 운동의 강도와 시간의 곱으로 결정됩니다.

    - 운동 강도를 지속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은 한계가 있으므로 운동을 점진적

      으로 늘려나가는 것이 체중감량을 위해 더 효과적인 전략일 수 있습니다.

    - 유산소 운동의 경우 빠르게 걷기나 자전거타기 같은 중등도 강도 이상의

      운동이 특히 체중 감량에 유리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중등도 강도의 운동은 한번에 30분 이상 연속적으로 하는 것이 좋으며,

      일주일에 150분 이상 더 나아가 일주일에 250분 이상 운동할 경우 체중감량

      및 체중예방에 더 효과적입니다.

   ⑷ 운동빈도

    - 운동을 처음 시작하는 경우 1주일에 3회 정도에서 시작하여 일정하게

      몇주 간격으로 점차로 늘려 5회 이상 하도록 합니다.

    - 운동시간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한 번에 길게 하는 운동보다는

      비교적 짧게 자주하는 것이 좋습니다.

    - 근력운동을 병행 할 경우 근육의 회복을 돕기위해 근육을 쉬어줄 필요가

      있으므로 신체를 주요 근육군으로 나누어(2분할 또는 3분할)

      주 2회 또는 3회 실시합니다.

                         

                              출처: 일차진료의를 위한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가이드라인(2판).대한가정의학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1. 아스피린 예방요법 - 권고사항 김병광 2018.02.19 2071
23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1. 아스피린 예방요법 1. 서론 김병광 2018.02.19 2059
22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1. 아스피린 예방요법 2. 본론 1. 아스피린 예방요법의 근거 김병광 2018.02.20 2168
21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1. 아스피린 예방요법 2. 본론 김병광 2018.02.20 2166
20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1. 아스피린 예방요법 2. 본론 김병광 2018.02.20 2503
19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Ⅱ. 심방세동 항응고 요법 - 권고사항 김병광 2018.02.21 2217
18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Ⅱ. 심방세동 항응고 요법 -1. 서론 김병광 2018.02.21 2301
17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Ⅱ. 심방세동 항응고 요법 -2. 본론 김병광 2018.02.22 2243
16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Ⅱ. 심방세동 항응고 요법 -2. 본론 김병광 2018.02.22 2286
15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Ⅰ. 맥파전달속도 및 발목상완지수 - 권고사항 김병광 2018.02.23 2545
14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Ⅰ. 맥파전달속도 및 발목상완지수 김병광 2018.03.03 2220
13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Ⅰ. 맥파전달속도 및 발목상완지수 2. 본론 1) 맥파 전달 속도 검사 김병광 2018.03.03 2560
12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Ⅰ. 맥파전달속도 및 발목상완지수 2. 본론 2) 발목 상완지수 김병광 2018.03.03 2588
11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Ⅱ. 경동맥 초음파 검사- 권고사항 김병광 2018.03.05 2301
10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Ⅱ. 경동맥 초음파 검사- 1. 서론 김병광 2018.03.05 2207
9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Ⅱ. 경동맥 초음파 검사- 2. 본론 김병광 2018.03.05 2282
8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Ⅱ. 경동맥 초음파 검사- 2. 본론 1) 진료지침 응용 김병광 2018.03.06 3117
7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Ⅱ. 경동맥 초음파 검사- 2. 본론2) 경동맥 초음파 측정방법 김병광 2018.03.06 2674
6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Ⅱ. 경동맥 초음파 검사- 2. 본론 3) 경동맥 내막매질 두께와 플라크의 임상적 응용 김병광 2018.03.14 2805
5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Ⅲ. 관상동맥 CT검사 - 권고사항 1. 서론 김병광 2018.03.15 254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