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 비만 치료 전 준비

   환자를 처음 대면할 때 4가지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① 연령, 성별, 사회경제학적 상태, 동반질환 유무

      - 먼저 고혈압, 당뇨, 이상지질혈증 등의 심뇌혈관질환 위험인자를 검사

        하여 건강위험도를 평가합니다. 비만치료와 함께 건강위험도를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비만 치료의 순응도를 높이는데 도움이 됩니다.

      - 빈혈, 골다공증 등의 영양결핍 관련이 있는 경우 체중감량으로 인해 악화

        될 수 있으므로 비만치려와 동시에 질환치료도 이루어져야 합니다.

      - 비만환자에서 담석증과 고요산증이 동반되는 경우가 흔한데 급격한 체중

        감량하면 이들의 질환이 악화될 수 있으므로 장기간에 걸쳐 서서히 감량

        하도록 환자를 설득해야 합니다.

     ② 환자의 과거 체중감량 시도와 체중변화 양상

      - 주로 어느 시기에 체중이 늘고 줄었는지, 과거에 체중감량을 시도한적이

        있었는지, 과거 체중양상과 그에 따른 원인을 아는것이 앞으로 체중감량

        전략을 짜는데 있어 중요합니다.

        또한 과거 잘목된 다이어트 방법을 사용한적이 있다면 바로잡아주어야

        합니다.

     ③ 비만과 비만치료에 대한 환자의 인식을 고려하여 적절한 목표체중과 치료

        기간을 설정

      - 환자가 원하는 체중을 물어보고 그 적절성을 판단하여 환자의 절충을 통해

        목표체중을 설정합니다.

        일반적으로 현재체중의 3 ~ 5%정도만 줄인 채로 유지해도 비만관련 심뇌

        혈관질환 위험요인지표들이 호전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그러나 비만환자들은 건강보다 미용차원에서 비만치료를 하려는 경향이

        있으므로 환자의 현재체중과 10% 이상 차이가 날 경우 목표 재설정이 필요

        합니다.

        짧은 기간에 현실적으로 도달 가능한 목표로서 3 ~ 5%의 체중감량을 제시

        하고 지속적으로 목표를 조정하여 첫 6개월 간 5 ~ 10%의 감량을 시도하게

        끔 유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④ 환자의 동기부여 상태 및 치료 순응도 향후 치료계획에 영향을 줍니다.

      - 동기부여가 되어 있다면 비만치료에 대한 순응도가 높지만 부모나 배우자

        등 타인에 의해 체중 조절을 강요당하는 수동적인 경우는 순응도가 낮습니

        다.

      - 비만치료를 위해 식사요법, 운동요법을 근간으로 약물치료 등의 방법을

        보조적으로 시도하려는 성향의 환자는 순응도가 높고, 약물치료 만으로

        체중을 감량하려는 경우 순응도가 낮습니다.

     - 고혈압, 당뇨, 이상지질혈증 등을 잘 조절하기 위한 일환으로 체중을 조절

       하려는 환자는 순응도가 높지만 약물치료로만 이들 질환을 조절하려는 환자

       는 순응도가 낮습니다.

     - 스트레스, 불안, 우울 등의 심리 상태에 놓여 있거나 신경을 써야 할 다른

       많은 일들에 비해 비만치료가 우순순위에서 밀려 있는 경우 순응도가 낮습

       니다.

       이런 경우 일단 체중이 증가하지 않게끔 유지하고 체중 조절을 중도에 포기

       하지 않게끔 심리적으로 지지해 주면소 환경 및 심리적인 치료 여건이 마련

       될 때까지 기다리도록 합니다.

                           출처: 일차진료의를 위한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가이드라인(2판).대한가정의학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4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Ⅰ. 맥파전달속도 및 발목상완지수 김병광 2018.03.03 2220
83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Ⅰ. 맥파전달속도 및 발목상완지수 - 권고사항 김병광 2018.02.23 2545
82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Ⅰ. 맥파전달속도 및 발목상완지수 2. 본론 2) 발목 상완지수 김병광 2018.03.03 2588
81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Ⅰ. 맥파전달속도 및 발목상완지수 2. 본론 1) 맥파 전달 속도 검사 김병광 2018.03.03 2560
80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Ⅱ. 경동맥 초음파 검사- 1. 서론 김병광 2018.03.05 2207
79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Ⅱ. 경동맥 초음파 검사- 2. 본론 김병광 2018.03.05 2282
78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Ⅱ. 경동맥 초음파 검사- 2. 본론 1) 진료지침 응용 김병광 2018.03.06 3117
77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Ⅱ. 경동맥 초음파 검사- 2. 본론 3) 경동맥 내막매질 두께와 플라크의 임상적 응용 김병광 2018.03.14 2805
76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Ⅱ. 경동맥 초음파 검사- 2. 본론2) 경동맥 초음파 측정방법 김병광 2018.03.06 2674
75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Ⅱ. 경동맥 초음파 검사- 권고사항 김병광 2018.03.05 2301
74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Ⅲ. 관상동맥 CT검사 - 2. 본론 김병광 2018.03.17 2510
73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Ⅲ. 관상동맥 CT검사 - 2. 본론 김병광 2018.03.18 2357
72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Ⅲ. 관상동맥 CT검사 - 권고사항 1. 서론 김병광 2018.03.15 2549
71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Ⅳ. 뇌 MRI 및 MRA 검사 2. 본론 김병광 2018.03.19 2611
70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Ⅳ. 뇌 MRI 및 MRA 검사 - 권고사항 김병광 2018.03.19 2303
69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기타 관련 질환 Ⅰ. 발기부전 - 1. 본론 2) 발기부전 환자의 진단,3) PDE5억제제 사용지침 김병광 2018.01.17 2179
68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기타 관련 질환 Ⅰ. 발기부전 - 권고사항 1. 서론 2.본론 1) 일차 진료 발기부전 진료의 특징 김병광 2018.01.16 2028
67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기타 관련 질환 Ⅱ. 수면무호흡증 - 권고사황 1. 서론 김병광 2018.01.17 2041
66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기타 관련 질환 Ⅱ. 수면무호흡증 2. 본론 1)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정의, 역학, 위험인자 김병광 2018.01.19 2024
65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기타 관련 질환 Ⅱ. 수면무호흡증 2. 본론 5) 페쇄성 수면무호흡증의 검사 및 적응증, 병리기전, 동반질환 김병광 2018.01.19 213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