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빈혈에 대한 치료지침

by 김병광 posted Jan 15, 201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Ⅰ. 혈색소 목표치

  1. 혈색소의 목표치는 10.5 - 12.5g/dl 로 하고 혈색소 수치가 11g/dl

     미만이거나 12g/dl 가 넘을 때 조혈호르몬 용량조절 시작합니다.

  2. 혈색소 수치가 12g/dl 가 넘으면 조혈호르몬 투여를 중지하고 관찰 후

     11g/dl 미만으로 저하되면 다시 투여를 시작합니다.

     그러나 13g/dl가 넘지 않도록 하여야 합니다.

  ☎ 혈색소 수치가 13-13.5g/dl 이상 되면 심혈관계 및 사망률이 높아진다

     는 보고가 있으므로 약간 낮게 조절합니다.

 

Ⅱ. 철분상태의 목표치

  1. 혈청 페리틴의 농도는 100mg/dl 이상으로 유지하고 철분포화도(TAST)

     는 20%가 넘지 않게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 혈청 페리틴은 저장철의 상태를 반영합니다.

     철분포화도는 기능적으로 이용가능한 철분의 상태를 반영합니다.

 

Ⅲ. 빈혈에 대한 조사 시점 및 검사 항목

  1. 만성 신질환의 단계에 관계없이 혈색소 수치가 남자는 13.5mg/dl ,

     여자는 12mg/dl미만인 경우 빈혈검사를 시행합니다.

  2. 조혈호르몬을 투여하기 전 만성 신질환과 관련된 빈혈 외의 다른 빈혈

     의 원인을 찾아 교정합니다. 이를 위해 혈색소 수치를 포함한 전혈구

     계산, 절대적 망상적혈구 계산(absolute reticulocyte count),

     혈청 페리틴 농도, 철분포화도, C반응단백(C-reacting protein)을

     검사합니다.

  ☎ 만성신질환 초기에도 빈혈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만성 신질환의 모든

     단계에서 빈혈에 대한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Ⅳ. 철분의 투여 경로

    투석전 만성신질환의 경우 경구용 철분제제를 우선적으로 투여하고

    잘 되지 않으면 정주용 철분을 사용합니다.

 

Ⅴ. 조혈 호르몬(ESA)의 투여경로

    피하주사는 정주에 비해 약 30% 용량의 감소효과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피하주사가 우선합니다. Darbeprotein alfa는 정주와 피하주사에 의한

    용량차이는 없습니다.

 

Ⅵ. 조혈호르몬의 시작 용량

    Erythroprotein의 시작은 50-100U/kg/주, Darbeprotein alfa의 시작

    용량은 0.45ug/kg/주로 저용량으로 시작합니다. 급격히 혈색소 수치를

    올리면 심혈관계 및 혈전에 의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Ⅶ. 혈색소의 추적관찰

    조혈호르몬 용량조절 동안에는 2-4주마다 혈색소를 측정합니다.

    조혈호르몬의 용량이 안정화되면 1-3개월 마다 측정합니다

 

Ⅷ. 철분관찰의 추적관찰

    철분 용량을 조절하는 동안에는 1개월마다 철분 상태를 측정합니다.

    조혈 호르몬의 용량이 안정화되면 1-3개월마다 측정합니다.

 

Ⅸ. 적절한 혈색소 상승속도

    1개월에 1-2g/dl입니다

           

Ⅹ. 조혈호르몬에 대한 저항성

  1. 정의: erythropoietin 20,000IU/주(300IU/kg/주) 혹은

     Darbeprotein alfa 100mg/주.5mg/kg/주)가 넘는 용량으로도

     목표치의 혈색소에 조달하지 못할 때를 말합니다.

  2. 원인: 가장 흔한 원인은 철분의 결핍이나 염증입니다.

     그 외에 만성적인 혈액의 소실, 부갑상선기능 항진증, 알루미늄 독성,

     혈색소병증, 비타민 결핍(엽산 혹은 B12결핍), 다발성 골수종, 골수

     섬유종, 악성종양, 영양실조, 용혈, 부적절한 투석 등입니다.


Articles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