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Ⅲ. 결핵의 재치료 및 약재내성 결핵의 치료 3. 다제내성 결핵의 치료

by 김병광 posted Sep 26, 201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Ⅲ. 결핵의 재치료 및 약재내성 결핵의 치료

 3. 다제내성(multidrug-resistant: MDR) 결핵의 치료

    다제내성결핵이란 이소니아지드와 리팜핀에 동시에 내성이 있는 결핵균에

    의해 발생한 결핵을 말합니다.

  1) 치료의 일반 원칙

   ⑴ 효과있는 약제를 선정하기 위해 과거 결핵 치료력과 약제감수성검사를

      동시에 고려해야 합니다.

      다음을 충촉해야 효과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① 과거 치료실패한 처방에 포함되지 않았던 약제

       ② 약제 감수성 검사에서 감수성이 증명된 양제

       ③ 약제내성 결핵내성 환자와의 접촉력

       ④ 지역사회의 내성 패턴

   ⑵ 약제를 선정할 때 약제감수성검사를 참조해야 하지만, 에탐부톨,

      피라진아미드, 제 4군, 5군에 포함된 약제에 대한 약제감수성검사는

      전적으로 신뢰하지는 말아야 합니다.

   ⑶ 항결핵효과가 강력한 군에 포함된 약제부터 순차적으로 선정하여야

      합니다.   

      2차 항결핵제 중 가장 우선적으로 포함시켜야 할 약제는 퀴놀론계와

      제4군약제는 프로치온아미드, 시클로세린, 파스의 순서로 처방에 포함

      시킴니다.

   ⑷ 효과가 없는 약제의 조합에 새로운 약제를 한 가지만 추가해서는 안됨니다.

   ⑸ 다제내성 결핵의 치료는 경험이 많은 전문가에게 의뢰하는 것을 권고합니다.

  2) 치료 처방의 구성

   ① 집중치료기 처방은 효과 있는 2차 항결핵제 4가지(주사제 포함)와

      피라진아미드로 구성합니다.

   ② 치료 처방은 최소한 피라진아미드, 퀴놀론계 약제, 주사제,

      프로치온아미드, 시클로세린을 포함해야 하며, 파스는 시클로세린을

      사용할 수 없을 때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③ 퀴놀론계 약제는 반드시 사용해야 하며, 레보플록사신 혹은 목시플록사신을

      우선적으로 사용합니다.

   ④ 프로치온아미드를 반드시 사용합니다.

   ⑤ 에탐부톨은 감수성을 보일 경우 사용할 수 있지만, 효과적인 약제에

      포함시키지 않습니다.

  3) 치료 기간

    ① 집중치료기는 최소 8개월을 권고합니다.

    ② 총 치료기간은 과거 다제내성결핵 치료력이 없는 환자에서

       최소 20개월을 권고합니다.

  4) 다제내성 결핵의 수술적 치료

    ① 약제에 반응하지 않는 다제내성결핵의 경우, 병변이 국소적이며 환자의

       전신상태가 양호한 경우, 그리고 감수성 약제가 2-3개 남아있는 경우

       병변의 수술적 제거를 권고합니다.

    ② 치료 시작 2-3개월 후 수술 여부를 결정하여 시행해야 합니다.

    ③ 병변이 성공적으로 제거되더라도 균 음전 후 12-24개월간의 항결핵제의

       투여가 필요합니다.


Articles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