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핵

Ⅰ. 결핵의 진단 - 2

by 김병광 posted Jan 02, 201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4) 조직학적인 진단

    ⑴ 결핵진단을 위하여 조직검사를 시행할 경우 검체에 대해 항산균

       배양검사와 결핵균 핵산증폭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5) 기타 검사

    ⑴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

      ① 도말음성 폐결핵의 경우 단순 흉부 X선 검사로 활동성 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울 때 전산화 단층촬영을 고려해야 합니다.

      ② 결핵과 다른 원인 질환의 감별이 어려울 때

         흉부 CT를 고려해야 합니다.

      ☎ 결핵의 진단 및 타 질환과의 감별, 결핵 관련 합병증의 평가

         치료의사 결정에 있어 흉부X선사진의 약점을 보완할 수 있지만

         결핵균 검사 등을 통하여 확인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6) 폐결핵의 진단과정

    ⑴ 도말양성 폐결핵의 진단과정

      ① 임상적으로 결핵의 가능성이 큰 경우

       - 폐결핵으로 진단하고 결핵치료와 경과를 관찰합니다.

       - 재 치료와 같이 임상적으로 다제내성 결핵의 가능성이 클 경우

         조기에 약제내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도말 양성 검체에 대한

         신속내성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 추후 배양검사결과를 확인하여 결핵균이 확인되면 약제 감수성

         검사를 시행받아야 합니다.

       - 추후 배양검사에서 비결핵항산균이 확인되면 임상소견을 분석하여

         결핵진단을 재검토 해야 합니다.

      ② 임상적으로 결핵의 가능성이 적은 경우

       - 흉부 X선 소견상 양측 하부에 기관지확장과 결절성 병변이

         관찰되는 경우와 같이 비결핵항산균 폐질환의 가능성이 있을 경우

         도말 양성 검체에 대한 결핵균 핵산증폭검사(TB-PCR)를 시행하여

         야 합니다.

       - 결핵균 핵산증폭검사에서 음성이면 결핵치료를 포기하고 배양검사

         결과를 기다리며 비결핵항산균 폐질환의 가능성을 고려해야 합니

         다.

    ⑵ 도말 음성 폐결핵의 진단과정

      ① 퀴놀론과 아미노글리코시드 등의 항결핵효과를 보이는 항생제를

         제외한 항생제에 대한 치료반응 살펴봐서 반응이 있으면

         결핵치료를 하지 않고 배양 결과를 기다립니다.

      ② 객담 결핵균핵산증폭검사에서 양성소견을 보이면 결핵으로

         진단하고 항결핵제를 복용해야 합니다.

      ③ 흉부CT, 기관지경검사, 조직검사 등을 시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검사에서 활동성 결핵을 시사하는 소견이 있을 때는

         도말 음성결핵으로 진단 후 항결핵제를 복용할 수 있습니다.

      ④ 도말음성폐결핵 환자에서 배양양성일 경우

         약제 감수성 검사를 시행하여야 합니다

 

                                                                      출처: 결핵 진료지침 2011

 


Articles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