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2011.05.02 17:13

7. 당뇨병 합병증 1) 급성합병증

조회 수 18839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7. 당뇨병 합병증
    당뇨병의 합병증은 급성합병증과 만성합병증이 있습니다.
    급성합병증은 그 시기를 잘 넘기면 휴유증 없이 정상생활을 할 수 있으나
    만성합병증은 한번 진행되면 다시 정상으로 돌아오기 힘들어 조기에 발견 조기관리하는 방법이
    최선입니다.
  1) 급성 합병증
     ⑴ 고혈당성 혼수
         ① 원 인 : 과식, 인슐린 부족, 감염증
         ② 증 상 : 처음에는 다뇨 현상이 있다가 심해지면 구토, 설사, 복통 등의 위장장애 까지
                       동반되어 탈수로 인해 혼수에 빠질 수 있습니다.
         ③ 치 료 : 수분 및 전해질 공급과 인슐린 투여를 해야 하며, 사망률이 높으므로 반드시 입원
                       치료해야 합니다.
     ⑵ 케톤산혈증
         ① 원 인 : 인슐린 결핍상태가 심하여 당분을 에너지원으로 사용 할 수 없게되면 저장된 지방질
                       을 분해하여 에너지를 얻게 됩니다. 이때 부산물로 생성된 케톤체가 혈중에 많아져
                       서 나타납니다.
         ② 증 상 : 체내의 액성이 산성으로 바뀌면서 호흡과 심박동이 빨라지며 급기야는 의식이 소실
                       되거나 사망할 수 있습니다.
         ③ 치 료 : 인슐린 투여와 함께 수분 및 전해질을 공급하고, 원인으로 작용한 유발인자의 치료
                       가 우선되어야 하므로 반드시 전문병원에 입원해야 합니다.
     ⑶ 저혈당
         저혈당이란 혈당이 정상 이하로 떨어지는 상태로 경구혈당강하제나 인슐린의 가장 흔한
         부작용입니다.
         저혈당 증상이 느껴지는 혈당 수치는 대체로 혈당이 50∼60 mg/dL 이하로 떨어졌을 때
         저혈당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저혈당은 그 증상이 심한 경우 즉시 치료하지 않으면 경련
         무의식, 뇌손상을 유발하여 사망에 이를 수도 있습니다.
        ● 저혈당의 원인
            ① 식사량이 갑자기 줄었거나 식사시간이 지연되었을 경우,
                설사나 구토가 심한 경우, 과음을 했거나 빈속에 음주를 했을 경우
            ② 인슐린이나 경구용 혈당강하제를 많이 복용하였을 때
            ③ 운동량이 평소보다 늘었거나 공복상태에서 운동하였을 경우
             * 즉 음식 섭취량, 운동에 의한 포도당 소모량과 약물에 의한 상호작용에 의하여 일어남니다.
        ● 저혈당의 증상 : 공복감, 식은땀, 가슴이 두근거림, 떨림, 현기증, 흥분, 불안정, 두통, 피로감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저혈당의 치료: 하는 일 중단하고 휴식을 취합니다.
                                 응급상황이 아니면 저혈당인지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응급처치 - 의식이 있을 경우는 각설탕 2-3개나 쥬스 1/2잔을 섭취합니다.
                            의식이 없는 경우에는 응급실로 빨리 후송해야 합니다.
            * 비상용 당분을 항상 휴대하고 있는 것이 좋습니다.(특히 운동 시)
            .
         ● 당뇨병카드착용: 지갑에는 항상 다음과 같은 문구가 있는 당뇨병카드를 넣어두는게 좋습니
                                    다
            • 나는 당뇨병으로 매일 인슈린주사로 치료 중입니다.
            • 의식이 흐린 상태, 행동이 불안정한 상태로 발견되면 즉시 당분을 먹여 주시고
              (설탕물, 알사탕, 주스 사이다, 각설탕, 꿀물 등)
            • 의식을 잃어 입으로 먹을수 없을 경우에는 즉시 가까운 병원으로 가능한 빨리 옮겨주시기
               를 바랍니다.
            * 본인의 주머니나 지갑에 사탕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5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1. 서론 김병광 2017.05.04 2645
94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4) 자기관리교육 김병광 2017.05.05 2647
93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2. 본론 2) 당뇨병 전단계환자의 관리 김병광 2017.05.04 2665
92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3) 혈당조절 김병광 2017.05.04 2705
91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1) 진단 및 선별검사 김병광 2017.05.04 2710
90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6) 동반된 심혈관 위험요소의 관리 김병광 2017.05.06 2764
89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 권고사항 김병광 2017.05.03 2766
88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3. 근거가 불충분한 사항 김병광 2017.05.07 2783
87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5) 제2형 당뇨병의 약물치료 김병광 2017.05.06 2851
86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7) 당뇨병합병증의 선별검사 및 관리 김병광 2017.05.06 2895
85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5) 제2형 당뇨병의 약물치료 김병광 2017.05.06 2901
84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5) 제2형 당뇨병의 약물치료 김병광 2017.05.06 2987
83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5) 제2형 당뇨병의 약물치료 김병광 2017.05.06 3032
82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Ⅳ. 자가관리 실천하기: 5 김병광 2015.07.23 5426
81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Ⅳ. 자가관리 실천하기: 3 김병광 2015.07.23 5428
80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Ⅲ. 당뇨병 관리 및 치료받기: 1 김병광 2015.07.20 5429
79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Ⅲ. 당뇨병 관리 및 치료받기: 4 김병광 2015.07.22 5458
78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Ⅳ. 자가관리 실천하기: 4 김병광 2015.07.23 5482
77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Ⅰ. 당뇨병 알기: 2 김병광 2015.07.17 5511
76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Ⅰ. 당뇨병 알기: 3 김병광 2015.07.17 554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