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2011.05.02 17:12

1. 당뇨병이란/ 2. 당뇨병 분류

조회 수 21824 추천 수 0 댓글 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 당뇨병이란?
    당뇨병이란 소변(뇨)으로 포도당(당)이 배출된다고 하여 붙여진 병입니다.
    췌장에서 “인슐린”이라는 호르몬이 분비되는데 인슐린이 부족하거나 인슐린의 작용에 대한 저항성
    이 생기게 되면 혈액속의 포도당을 이용하지 못하여 지속적으로 피 속에 당이 높은 상태를 유지하
    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를 당뇨병이라 합니다.
   * 포도당이란: 탄수화물(밥, 국수, 빵, 고구마, 감자 등)의 최종 분해산물로
                      우리 몸에 가장 중요한 에너지원(자동차라면 휘발류)입니다.
   * 인슈린이란: 포도당이 혈액 내 증가하면췌장 베타세포에서 인슈린이 분비되어
                      포도당을 세포내로 이동시켜 에너지를 만들어냄니다.
2. 분류
    당뇨병은 그 원인에 따라 크게 제1형과 제2형 당뇨병으로 나눕니다.
1) 제1형 당뇨병:
     ● 소아형 당뇨병 혹은 인슐린의존형당뇨병으로 불리던 당뇨병으로 주로 소아나 청소년기에 발생
         하는데,
     ● 면역학적 기전 등으로 췌장이 심하게 파괴되어 인슐린을 합성하지 못하기때문에 절대적인 인슈
         린 부족하여 생기는 질환입니다,
     ● 반드시 인슐린 주사를 맞아야 하는 당뇨병입니다.
2) 제2형 당뇨병
     ●  성인형 당뇨병 혹은 인슐린비의존형 당뇨병으로 불리던 당뇨병으로
     ●  췌장에서는 어느 정도 인슐린을 합성하지만 인슐린의 작용 부위에서 인슐린저항성이 더 문제
          가 되고 계속적으로 진행성의 인슈린 합성이 저하되어유발되는 당뇨병을 말합니다.
          세월이 가면 당뇨가 더욱 심해져서 인슈린 주사가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  주로 40대 이후의 비만한 성인에서 잘 생깁니다.
     ●  초기에 식사와 운동요법에 의하여 체중을 감량하고 근육을 키우면 당뇨병이 호전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3) 기타 형태의 당뇨병
      췌장질환, 내분비질환, 특정한 약물, 화학물질, 인슐린 혹은 인슐린 수용체이상, 유전적 증후군에
      의해 2차적으로 당뇨병이 유발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4) 임신성 당뇨병 - 임신 기간 중 처음 진단된 당뇨병을 말합니다.
      임산부의 2∼3%가 발병하며, 대부분은 출산 후 정상화됩니다.
      하지만 임신 중에는 혈당조절의 정도가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태아 사망률 및 선천성 기형의
      이환율이 높으므로 주의를 요합니다.
      당뇨병의 가족력이 있거나 거대아, 기형아, 사산아를 출산한 분만력이 있는 경우, 그리고 산모가
      비만한 경우, 고혈압이 있거나 요당이 나오는 경우는 보통 임신 24주∼28주에 간단한 임신성 당뇨
      병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5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1. 서론 김병광 2017.05.04 2645
94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4) 자기관리교육 김병광 2017.05.05 2647
93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2. 본론 2) 당뇨병 전단계환자의 관리 김병광 2017.05.04 2665
92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3) 혈당조절 김병광 2017.05.04 2705
91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1) 진단 및 선별검사 김병광 2017.05.04 2710
90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6) 동반된 심혈관 위험요소의 관리 김병광 2017.05.06 2764
89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 권고사항 김병광 2017.05.03 2766
88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3. 근거가 불충분한 사항 김병광 2017.05.07 2783
87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5) 제2형 당뇨병의 약물치료 김병광 2017.05.06 2851
86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7) 당뇨병합병증의 선별검사 및 관리 김병광 2017.05.06 2895
85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5) 제2형 당뇨병의 약물치료 김병광 2017.05.06 2901
84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5) 제2형 당뇨병의 약물치료 김병광 2017.05.06 2987
83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5) 제2형 당뇨병의 약물치료 김병광 2017.05.06 3032
82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Ⅳ. 자가관리 실천하기: 5 김병광 2015.07.23 5426
81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Ⅳ. 자가관리 실천하기: 3 김병광 2015.07.23 5428
80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Ⅲ. 당뇨병 관리 및 치료받기: 1 김병광 2015.07.20 5429
79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Ⅲ. 당뇨병 관리 및 치료받기: 4 김병광 2015.07.22 5458
78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Ⅳ. 자가관리 실천하기: 4 김병광 2015.07.23 5482
77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Ⅰ. 당뇨병 알기: 2 김병광 2015.07.17 5511
76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Ⅰ. 당뇨병 알기: 3 김병광 2015.07.17 554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