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 심혈관질환 위험인자 평가

                                권고 내용

제2형 당뇨병환자에게서 심혈관질환과 연관된 위험인자를 평가해야 한다.

 1. 심혈관관 연관된 위험인자의 평가

   • 당뇨병환자에서 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의 일환으로

     다음과 같은 심혈관질환 위험인자 평가를 권고합니다.

       ① 성별, 나이, 혈압, 흡연여부, 이상지질혈증(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 복부비만 등을  

          평가합니다.

       ② 당뇨병환자의 심혈관질환의 위험인자를 평가하기 위해서

          UKPDS engine, 프 래 밍 험 위 험 지 수, NCEP 및 IDF가 제안한

          대사증후군 기준을 이용하는 것을 권고합니다.

   • 모든 당뇨병환자에게 금연을 권고한다.

심혈관 질환을 선별하기 위한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II. 심혈관질환을 선별하기 위한 검사

    • 다음과 같은 당뇨병환자에서는 선별 심장스트레스 검사의 시행을

      고려합니다.

        ① 전형적이거나 비전형적인 심장 증상이 있는 경우

        ② 심전도에서 허혈이나 경색이 의심되는 경우

        ③ 말초혈관 혹은 경동맥의 폐색성 질환이 있는 경우

        ④ 35세 이상이고 앉아서 일하는 생활습관을 가진 당뇨병환자에서

           강도 높은 운동을 시작하려는 경우

 III. 말초혈관질환 선별을 위한 검사

    • 당뇨병환자는 무증상의 말초혈관질환이 많으므로 시진 및 촉진을

      주의 깊게 시행할 것을 권고한다.

        ① 시진: 의존성 부위의 적색 피부 변화(dependent rubor),

                 하지거상 시 창백한 피부, 털의 소실, 발톱의 퇴행위축, 

                 피부궤양

        ② 촉진: 맥박, 피부 온감, 피부 감각

심혈관질환의 치료를 해야 한다.

 IV. 심혈관질환의 치료

   • 제2형 다요병환자의 경우 비치명적 심근경색 및 뇌졸중을 감소시키기 위해

     여러가지 심혈관질환 위험인자를 관리할 것을 권고합니다.

   • 심근경색 병력이 있는 환자의 경우에는 베타 차단제를 최소한 2년 이상

     동안 지속 사용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 증상이 있는 심부전 환자에게서 티아졸리디네디온(Thiazolidinedione)

     사용을 피하도록 한다.

   • 메트포르민(Metformin)은 신기능이 정상이라면 안정된 심부전 환자에서

     사용할 수 있다.

     환자가 심부전으로 입원하였거나, 조절되지 않는 심부전인 경우에는 사용을 

     피하도록 한다.

   심부전이 동반된 경우 SGLT-2 억제제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1) 당뇨병환자의 가장 흔한 사만원인은 심혈관질환으로 당뇨병이 없는 사람에

    비하여 남자는 2-3배, 여자는 3-5배 위험도가 높기 때문에 혈당조절과 더불어

    심혈관질환의 위험인자에 대한 평가및 조절이 반드시 필필요합니다.

    심혈관 합병증은 관상동맥질환, 뇌졸중, 말초동맥질환, 심근증, 심부전이 있

    습니다.

    당뇨병환자에서 심혈관위험인자를 계산할 때 UPDS engine이나 프래밍험 위험

    지수, 유럽국가들의 SCORE system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나 현실적으로

    진료실에서 간단하게 위험인자를 평가하는데는 NCEP, IDF 대사증후군 진단기

    준을 적용하는 것이 편리합니다.


2)  제2형 당뇨병에서 고혈압, 고지질혈증 등에 대한 치료들이 심혈관질환의 위험

    을 감소시키는 것이 잘 증명되어 있지만 심혈관질환을 완전히 예방할 수 있는

    치료는 없으므로 심혈관질환을 조기에 진단하는 것이 무었보다도 중요합니다.

    당뇨병환자에게서 증상이 없는 심혈관질환을 진단하는 것은

      ① 추후의 심장병 이환율과 사망률을 낮추는 예방프로그램을 적용할 수 있

         고

      ② 항 - 허혈 약제 치료를 시작하고

      ③ 혈관재형성 시술이 필요한 환자를 조기에 발견한자는 장점이 있습니다. 

    당뇨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를 보면, 적극적인 치료가 심혈관질환의 이환

    율과 사망률을 낮추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습니다.


    당뇨환자에게서 증상이 없는 심혈관질환을 진단하는 것은 심장

    선별검사로 적절한 검사방법은 목적에 따라 달라짐니다. 

    증상이 없고 심혈관질환이 위험이 적은 환자에서 선별검사를 시행할 때에는

    운동부하검사가 적당합니다.

    운동부하검사는 당뇨병환자에서 관상동맥질환 중 단독혈관 이상을 진단하는

    정확도는 약간 떨어지지만 다혈관질환이나 좌측 혈관의 병변을 진단하는 정확 

    도가 높으며 심혈관질환 유무에 따른 예후를 잘 반영합니니다.

3) 비외상성 하지절단의 가장흔한 원인은 당뇨병이며, 이는 대혈관 또는 소혈관

   질환에서 기인됨니다.

   말초혈관질환의 빈도는 연령증가, 당뇨병의 이환기간 증가, 신장병의 동반 등에

   따라 증가됩니다. 특히 당뇨병환자에게는 무증상의 말초혈관질환의 비율이 정상

   인에 비하여 3~4배 이상 매우 높으므로 증상이 없더라도 하지진찰(시진 - 피부

   색 변화 또는 궤양유부확인, 촉진 - 동맥촉진 또는 피부온도 확인)을 주의깊게

   시정해야 하며, 필요에 따라서 선별검사로 발목상환지수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4) 모든 당뇨병환자에게 심혈관질환의 위험요소인 이상지질혈증, 고혈압, 흡연,

   관상동맥가족력, 알부민뇨, 단백뇨 등을 평가해야 하며, 비정상적인 위험인자

   는 진료지침에 따라 치료해야 합니다.

                                              

                                                                                    - 대한의학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5 당뇨병 7. 혈당조절 목표 8. 혈당조절의 모니터링 및 평가 5 김병광 2011.09.09 20487
74 당뇨병 7. 당뇨병 합병증 2) 만성합병증/ 8. 만성합병증 정리 김병광 2011.05.02 18202
73 당뇨병 7. 당뇨병 합병증 1) 급성합병증 3 김병광 2011.05.02 18839
72 당뇨병 5. 당뇨병진단/ 6. 매년 혈당검사를 해야 하는 사람은? 김병광 2011.05.02 18781
71 당뇨병 5. 당뇨병의 예방 6. 대사증후군의 진단기준 김병광 2011.09.08 18432
70 당뇨병 4. 당뇨병의 분류 김병광 2011.09.08 21130
69 당뇨병 36. 당뇨병환자의 임상영양요법(부록) 김병광 2011.11.04 15026
68 당뇨병 35. 노인 당뇨병환자의 운동(부록) 김병광 2011.11.02 15827
67 당뇨병 34. 당뇨병환자에서 베리아트릭 수술 김병광 2011.10.27 22881
66 당뇨병 33. 당뇨병환자에서 췌장 및 췌도이식은 ? 김병광 2011.10.24 17777
65 당뇨병 32. 당뇨병과 수술 전후 관리 김병광 2011.10.21 20609
64 당뇨병 31. 노인당뇨병 김병광 2011.10.20 26607
63 당뇨병 30. 당뇨병과 임신(임신성 당뇨병) 김병광 2011.10.19 18672
62 당뇨병 3. 당뇨의 원인/ 4. 당뇨병의 증상 김병광 2011.05.02 19231
61 당뇨병 29. 소아청소년기 당뇨병 김병광 2011.10.17 17610
60 당뇨병 28. 당뇨병환자에서의 암 선별검사(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더 잘 발생되는 암은?) 김병광 2011.10.14 15675
59 당뇨병 26. 당뇨병의 급성합병증 27. 입원 및 중증질환 시 혈당관리 김병광 2011.10.13 18082
58 당뇨병 25. 당뇨병환자는 발 관리를 어떻게 해야하나? 김병광 2011.10.10 18928
57 당뇨병 24. 당뇨병성 망막병증 예방 및 치료 김병광 2011.10.08 21202
56 당뇨병 23. 당뇨병성 신경병증 예방 김병광 2011.10.06 2075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