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Ⅱ. 당뇨병 관리

  10. 당뇨병환자의 고혈압

권고적용군

제2당뇨병환자

진료환경

외래

중재/실행지표

혈압 측정

비교지표

혈압측정 미 시행

결과물

당뇨병성 신증과 심혈관질환 예방과 진행 억제

권고 내용

• 당뇨병환자는 병원 방문시마다 혈압을 측정하고 목표 혈압은 140/85 mmHg 미만

  으로 유지하도록 권고한다.1)

• 약물치료는 진단 시 수축기혈압 140 mmHg 이상 또는 이완기혈압 85mmHg 이상인

  고혈압 또는 3개월간의 치료적 생활습관 교정으로 목표 혈압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에 시작할 것을 권고한다.

• 고혈압이 동반된 당뇨병환자에게

  나트륨 섭취의 감소, 음주의 최소화 및 운동량 증가 등 지속적인 치료적

  생활습관 교정을 권고한다.2)

• 혈압을 조절하기 위한 일차약제로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ACEi) 또는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차단제(ARB)를 사용하도록 권고한다.3)

• 일차약제로 혈압조절이 충분치 않은 경우 서로 다른 기전의 약물들의 병용요법

  을 권고하며,

  이차약제는 칼슘 통로 차단제가 이뇨제보다 심혈관질환 예방에 도움이 된다. 4)

•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차단제 또는

  이뇨제 사용 시 혈청 크레아티닌, 칼륨 수치 모니터링을 고려할 수 있다.

• 심혈관질환 예방 효과를 유지하기 위하여 고혈압 약물치료는 지속적으로 하는

  것을 권고한다.

.

☎ 1) :실제 HOT 연구중 당뇨병환자에서 이완기혈압 80mmHg 미만을 목표로 한

       경우 심혈관계 사건의 감소를 보였으나 실제 도달한 이완기혈압은 81mmHg

       였으며 이완기 혈압 목표를 80mmHg하는 경우 맥압이 증가될 수 있어 이에

       이완기 혈압의 목표는 85mmHg 미만으로 유지하도록 권고합니다.

   2) :당뇨병환자만을 대상으로 식사 및 운동요법을 통한 혈압조절연구는 없지

       만,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생활습관개선(체중감량, 소금섭취

       감소, 신체활동 증가, 알코올 섭취감소)을 통해 단일약제만큼의 혈압개선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습니다.

   3) :진단 시 혈압이 수축기혈압 140 mmHg 이상 또는 이완기혈압 90 mmHg

       이상인 경우 약물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고혈압약과 관련해서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ACEi),

       안지오텐신 Ⅱ 수용체 차단제(ARB), 베타 차단제(BB), 칼슘 통로 차단제

       및 이뇨제를 처방할 수 있으나, 일차약제로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

       또는 안지오텐신 Ⅱ 수용체 차단제를 우선적으로 권고합니다.

     -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나 안지오텐신 Ⅱ 수용체 차단제, 이뇨제를

       사용할 시에는 혈청 크레아티닌이나 칼륨 수치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4) :많은 환자들에게서 혈압조절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여러 약제의

       병합투여가 필요합니다.

       특히 한 가지 약제로 혈압이 충분히 조절되지 않을 경우에는

       약제의 부작용을 줄이고 혈압강하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다른 계열의 약제를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ACCOMPLISH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당뇨병환자 및 고위험 당뇨병환자

       모두에게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와 칼슘 통로 차단제를 병합

       투여한군에서 심혈관질환 예방효과가 뛰어난 것이 입증되었습니다.

    5) UKPDS 의 추적 연구 결과를 보면

       중재 중 엄격한 혈압조절을 통해 얻을 수 있었던 심혈관질환에 대한

       이점들이 중재 후 유지가 되지 않으면서 사라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

       다.

       이는 당뇨병환자에서의 혈압조절은 지속적으로 해야 한다는 것을 뜻합니다.

                                                                   


                                                                                     - 대한의학회 -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5 당뇨병 7. 당뇨병 합병증 1) 급성합병증 3 김병광 2011.05.02 18839
74 당뇨병 5. 당뇨병진단/ 6. 매년 혈당검사를 해야 하는 사람은? 김병광 2011.05.02 18781
73 당뇨병 당뇨전단계 - 1 김병광 2011.07.06 18748
72 당뇨병 30. 당뇨병과 임신(임신성 당뇨병) 김병광 2011.10.19 18672
71 당뇨병 5. 당뇨병의 예방 6. 대사증후군의 진단기준 김병광 2011.09.08 18432
70 당뇨병 13. 자기관리교육 14. 당뇨병환자에서 백신접종은? 김병광 2011.09.22 18380
69 당뇨병 7. 당뇨병 합병증 2) 만성합병증/ 8. 만성합병증 정리 김병광 2011.05.02 18202
68 당뇨병 당뇨전단계 - 2 김병광 2011.07.07 18109
67 당뇨병 26. 당뇨병의 급성합병증 27. 입원 및 중증질환 시 혈당관리 김병광 2011.10.13 18082
66 당뇨병 9. 당뇨병환자의 임상영양요법 김병광 2011.09.15 17855
65 당뇨병 33. 당뇨병환자에서 췌장 및 췌도이식은 ? 김병광 2011.10.24 17777
64 당뇨병 16. 당뇨병환자의 특별한 상황에서의 관리(아픈 날, 여행 등) 6 김병광 2011.09.24 17701
63 당뇨병 11. 당뇨병 치료제 - 경구약제 김병광 2011.09.17 17697
62 당뇨병 29. 소아청소년기 당뇨병 김병광 2011.10.17 17610
61 당뇨병 10. 당뇨환자에서 운동요법 김병광 2011.09.16 17341
60 당뇨병 당뇨병 운동요법 김병광 2011.05.02 17246
59 당뇨병 당뇨관리 1. 식사뇨법 - 식품교환표를 이용하기 어려우신분들(특히 노인분들) 김병광 2011.05.02 17061
58 당뇨병 당뇨병 관리 1. 식사요법 김병광 2011.05.02 16514
57 당뇨병 35. 노인 당뇨병환자의 운동(부록) 김병광 2011.11.02 15827
56 당뇨병 28. 당뇨병환자에서의 암 선별검사(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더 잘 발생되는 암은?) 김병광 2011.10.14 1567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