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559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Ⅱ. 당뇨병 관리     

 5. 당뇨병 치료제                                          

권고적용군

제2당뇨병환자

진료환경

외래

중재/실행지표

당뇨병 치료제 처방

비교지표

생활습관개선

결과물

당화혈색소 조절목표 도달

 

                                권고내용

초기치료¹

 • 당뇨병 합병증의 예방을 위하여 철저하게 혈당을 조절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적극적인 생활습관 개선과 함께 당뇨병 진단 초기부터

   적극적인 약제투여를 권고합니다.

 • 약제투여는 생활습관 개선으로 2-3개월 내에 혈당조절의 목표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 시작할 것을 권고합니다.

 • 약제를 선택할 때는 환자의 임상적 특성과 약물의 작용기전, 효과, 비용

   안전성을 고려하며, 메트포르민을 우선적으로 권고합니다.

 • 혈당강하제 단독요법의 실패는 ‘생활습관의 개선과 함께 최대 용량으로

   3-6개월 이내에 당화혈색소 목표치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로 정의하고,

   이때는 적극적인 병합요법의 시작을 고려합니다.

약물 병합요법²

 • 단독요법으로 혈당조절 목표 도달에 실패할 경우

   용량을 늘리거나 작용기전이 다른 약제와 병합요법 시행을 고려해야합니다.

 • 혈당조절 상태에 따라 단독요법 실패 이전에도 조기 병합요법 시행을

   고려해야합니다.

인슐린 치료 시작³

 • 적절한 경구혈당강하제 병용투여에도 불구하고 혈당조절 목표에 도달하지

   못하면 인슐린 사용을 고려해야합니다.

 • 당뇨병 진단 초기에도 증상이 있거나 당화혈색소 9% 이상인 경우 인슐린 사용

   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 제2형 당뇨병이 성인의 지연형 자가면역당뇨병(latent autoimmune diabetes

   in adults, LADA)이나 제1형 당뇨병과 감별이 어려운 경우 인슐린 사용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 심근경색증, 뇌졸중, 급성질환 발병 시, 수술 시에는 인슐린사용을 고려해야 

   합니다.

 • 임신을 준비 중인 환자나 임신한 경우

   경구혈당강하제를 중단하고 인슐린 사용을 고려해야 합니다.

 • 당화혈색소 8.5% 미만에서도 고혈당 증상의 개선 및 신속한 혈당감소를

   위해 혼합형 인슐린, 식전 인슐린 또는 다요소인슐린요법 또는 인슐린 펌프

   사용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 경구혈당강하제와 기저인슐린요법 병용으로 혈당조절 목표에 도달하지 못하면,

   GLP-1 수용체효능제나 식전 속효성인슐린유사체 투여 또는 1일 2회 이상의

   혼합형 인슐린 투여법으로 전환하도록 권고해야합니다.

 • 기저인슐린과 GLP-1 수용체 효능제 병용이나 1일2회 이상의 혼합형 인슐린

   투여로 목표 혈당에 도달하지 못하면 다요소인술린요법 또는 인슐린 펌프 치료

   로 전환하는 것을 고려해야합니다.

 

 ☎ ¹ :당뇨병환자를 대상으로 시행 된 기존 연구들에서 정상 수준으로의

        철저한 혈당조절은 당뇨병성 미세혈관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다는 사실이

        입증되었습니다.

        철저한 혈당조절의 목표는 당화혈색소를 기준으로 합니다.

      - 처음 당뇨병을 진단받은 환자에게는 우선적으로 철저한 생활습관

         (운동 및 식사요법) 개선을 통한 혈당조절을 추천하고 있지만

     - 생활습관 개선만으로 목표 당화혈색소 수치까지 도달 및 장기간 유지가

       어렵고, 고혈당에 노출되는 기간과 당뇨병성 합병증 발생과 높은 상관

       관계가 있으므로 생활습관 개선과 함께 조기에 혈당강하제의 사용이 

       필요합니다.

     - 당화혈색소가 7.5-8% 이상으로 진단된 당뇨병환자의 경우 당화혈색소 

       목표치를 6.5%로 정한다면 생활습관 개선만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당화혈색소치가 1-1.5% 정도이므로 이 경우에는 생활습관 개선 및

       혈당강하제를 바로 투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대한당뇨병학회, 미국당뇨병학회 및 유럽당뇨병학회는

       초기 치료로서 생활습관 개선과 함께 metformin 약물치료를 권고하였습니

       다.

     - 초기 단독 경구혈당강하제만으로 목표 혈당치에 도달하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는 서로 다른 기전의 약제를 병합하는 저용량 조기병합

       요법을 초기에 사용할 수 있으며 GLP-1 수용체작용제도 사용할 수 있습니

       다.

       이러한 근거로는 단일 약제들이 최대 용량의 50% 정도에서 최대 혈당강하

       효과와 유사한 약효를 보이고, 약제 부작용은 적기 때문입니다.

     - 특히 기저 당화혈색소 9.5% 이상으로 혈당이 매우 높은 경우 처음부터

       강력한 병합요법이 장기간의 혈당조절 및 합병증 감소에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들이 많이 있습니다. 또한 고혈당 증상이 있거나 당화혈색소

       9.0% 이상인 경우 초기에도 인슐린 사용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²:초기 단독 경구혈당강하제로 시작한 경우 당화혈색소 수치에 따라

       2-3개월 간격으로 약제의 용량을 증량해 나갑니다.

       최대 용량 사용 후 3-6개월 이내에 목표 당화혈색소에 도달 및 유지를

       못한 경우를 ‘경구혈당강하제 단독요법의 실패’라 정의하고 서로 다른

       기전의 약제를 추가하는 병합요법을 시작해야합니다.

     - 환자의 임상적 특성을 고려하여 최대 용량에 이르지 않은 경우에도

       다른 기전의 약제를 추가하는 조기 병합요법(half-maximal dose)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배경에는 경구혈당강하제를 최대용량 단독으로 투여하는 것보다

       다제병용요법이 보다 혈당을 낮출 수 있으며

       병용요법이 늦어지면 목표하는 혈당조절이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 주로 식후 고혈당이 문제가 되는 경우 meglitinide, a-glucosidase

       억제제, GLP-1 수용체 효능제나 DPP-4 억제제의 추가를 고려 해 볼 수

       있습니다.

     - 경구혈당강하제는 그 작용기전에 따라 크게 여섯 가지로 나뉩니다.

         첫째는 간에서 포도당 합성을 억제하는 biguanide,

         둘째는 췌도 베타세포로부터 인슐린 분비를 직접 자극하는 sulfonylurea

                  (non-sulfonylurea 계포함)

         셋째는 말초조직의 인슐린저항성을 개선시키는 thiazolidinedione(TZD) 

         넷째로 장에서 포도당 흡수를 억제하는 α-glucosidase 억제제제

         다섯째로 인크레틴 효과를 증강시키는 DPP-4 억제제,

         여섯째로 신장에서 당의 재흡수를 억제하는 SGLT-2(sodium- glucose

                  cotransporter 2)억제제 등이 있습니다.

       - 주사제로는 인슐린 및 GLP-1 수용체 효능제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약제 선택 시 고려해야 할 임상적 요소로는 나이, 당화혈색소치,

         공복 시 고혈당 정도, 식후 고혈당 정도, 비만 여부, 대사증후군 여부

         인슐린분비능, 간기능 및 신장기능 이상 여부 등입니다.

       - 여섯 가지 종류의 경구혈당강하제는 각각 다른 작용기전으로 혈당강하

         효과를 보이고 약제마다 장단점이 서로 다르므로 환자의 임상적 특성,

         약제의 작용기전과 효능, 비용 및 안전성을 고려하여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³:당뇨병 유병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경구혈당강하제에 의존한

         제2형 당뇨병환자도 인슐린 사용이 필요하게 됩니다.

         당뇨병 유병기간과 인슐린 사용 연구에서 지속되는 인슐린저항성과

         췌도 베타세포의 분비능 저하가 계속되어 이환기간이 15년 이상인

         환자의 50%에서는 인슐린을 투여하게 됩니다.

       - 권고되는 인슐린 사용 시점으로는 생활습관 교정과 충분한 경구혈당하제

         들을 투여에도 불구하고 당화혈색소가 높게 지속되는 경우, 초기 치료로

         인슐린을 투여 그리고 당화혈색소 9-10% 이상의 중증 고혈당에서 권고

         됩니다.

       - 제2형 당뇨병환자는 당뇨병 진단 당시 이미 인슐린분비능이 50% 이하로  

         저하되어 있으며, 6년 후에는 베타세포의 인슐린 분비 기능이 매우

         저하되어 25% 정도이므로 췌도 베타세포 기능을 보호하기 위하여

         조기 인슐린요법이 필요한 근거가 됩니다.

       - 체중감소와 같은 고혈당에 의한 증상이 있을 경우에도 초기 인슐린 요법

         이 필요합니다.

       - 진단 시에 성인형 자가면역당뇨병(latent autoimmune diabetes in

         adults, LADA)이나 제1형 당뇨병과 감별이 어려운 경우에도 인슐린을 

         사용합니다.

       - 진행된 만성 신질환이나 간질환이 동반된 경우 인슐린 치료를 적극   

         고려해야합니다.

       - 경구혈당 강하제에 대한 과민 반응이 있을 시 인슐린을 사용합니다.

       - 심근경색, 뇌졸중, 급성질환의 동반, 수술 시에는 인슐린 치료를 시행

         합니다.

       - 임신을 준비 중인 환자나 임신을 한 경우 경구혈당강하제를 중단하고

         인슐린을 투여합니다.

       - 경구혈당강하제에 기저인슐린요법을 병용한 환자의 30-50%에서만

         당화혈색소 7% 이내 유지가 가능하였으며,

         초기에 목표 혈당에 도달한 환자도 시간 경과에 따라 공복혈당은 유지

         되나 점차 식후 혈당이 증가하여 당화혈색소가 다시 상승하므로

         혈당조절이 필요하게 됩니다. 이때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은 식사에 의해

         상승된 식후 혈당을 기저인슐린에 속효성인슐린을 식전에 1회 이상 추가

         하여 목표 당화 혈색소에 도달할 때까지 인슐린 횟수 및 용량을 늘리는

         방법과 2회 이상의 혼합형인 인슐린을 투여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  혼합형 슐린요법은 기저인슐린요법에 비해 저혈당 위험과 체중 증가의 

         부담이 있으나 기저인슐린요법으로 조절되지 않는 많은 환자에서 적절한

         혈당조절이 가능합니다.



                                                                                                                                                                                 - 대한의학회 -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5 당뇨병 7. 혈당조절 목표 8. 혈당조절의 모니터링 및 평가 5 김병광 2011.09.09 20487
74 당뇨병 7. 당뇨병 합병증 2) 만성합병증/ 8. 만성합병증 정리 김병광 2011.05.02 18202
73 당뇨병 7. 당뇨병 합병증 1) 급성합병증 3 김병광 2011.05.02 18839
72 당뇨병 5. 당뇨병진단/ 6. 매년 혈당검사를 해야 하는 사람은? 김병광 2011.05.02 18781
71 당뇨병 5. 당뇨병의 예방 6. 대사증후군의 진단기준 김병광 2011.09.08 18432
70 당뇨병 4. 당뇨병의 분류 김병광 2011.09.08 21130
69 당뇨병 36. 당뇨병환자의 임상영양요법(부록) 김병광 2011.11.04 15026
68 당뇨병 35. 노인 당뇨병환자의 운동(부록) 김병광 2011.11.02 15827
67 당뇨병 34. 당뇨병환자에서 베리아트릭 수술 김병광 2011.10.27 22881
66 당뇨병 33. 당뇨병환자에서 췌장 및 췌도이식은 ? 김병광 2011.10.24 17777
65 당뇨병 32. 당뇨병과 수술 전후 관리 김병광 2011.10.21 20609
64 당뇨병 31. 노인당뇨병 김병광 2011.10.20 26607
63 당뇨병 30. 당뇨병과 임신(임신성 당뇨병) 김병광 2011.10.19 18672
62 당뇨병 3. 당뇨의 원인/ 4. 당뇨병의 증상 김병광 2011.05.02 19231
61 당뇨병 29. 소아청소년기 당뇨병 김병광 2011.10.17 17610
60 당뇨병 28. 당뇨병환자에서의 암 선별검사(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더 잘 발생되는 암은?) 김병광 2011.10.14 15675
59 당뇨병 26. 당뇨병의 급성합병증 27. 입원 및 중증질환 시 혈당관리 김병광 2011.10.13 18082
58 당뇨병 25. 당뇨병환자는 발 관리를 어떻게 해야하나? 김병광 2011.10.10 18928
57 당뇨병 24. 당뇨병성 망막병증 예방 및 치료 김병광 2011.10.08 21202
56 당뇨병 23. 당뇨병성 신경병증 예방 김병광 2011.10.06 2075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