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551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Ⅰ. 당뇨병 알기

 3. 당뇨병 위험인자

    ① 체질량지수 25 kg/m² 이상의 비만인 경우

    ② 40세 이상 성인

    ③ 아래와 같은 위험인자가 있는 30세 이상 성인 등으로 여기에 해당되는

       분들은 적어도 1년에 한 번 이상 병원에서 당뇨병 선별검사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당뇨병의 위험인자

  1

체질량지수 23 kg/m²이상의 과체중

  2

허리둘레 남자 90 cm, 여자 85 cm 이상의 복부비만

  3

가족(부모, 형제자매) 중 당뇨병환자가 있는 경우

  4

공복혈당장애나 내당능장애의 과거력

  5

임신성당뇨병이나 4 kg 이상의 거대아 출산력

  6

고혈압(140/90 mmHg 이상 또는 항고혈압약제 복용)

  7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남자 40 mg/dL, 여자 50 mg/dL 미만

혹은 중성지방 250 mg/dL 초과

  8

다낭난소증후군 또는 흑색가시세포증 등 인슐린저항성이 의심될 때

  9

심혈관질환(뇌졸중, 관상동맥질환 등)


  ☎ 체질량지수(BMI)란

     몸무게를 키의 제곱으로 나누어 구하는 비만도 수치입니다.

       체중이 72 kg이고 키가 170 cm일 경우, 72 kg ÷ (1.70 m)²

       따라서 체질량지수는 약 25 kg/m²입니다.

     체질량지수가 23 kg/m² 미만이면 정상,

                  23~25 kg/m²이면 과체중,

                  25~30 kg/m²이면 비만,

                  30 kg/m² 이상이면 고도비만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4. 당뇨병의 흔한 증상

 혈당이 아주 높지 않거나 일시적으로 높게 올라갈 때에는

 증상이 전혀 없거나 피곤함 등의 비특이적 증상만 있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따라서 증상 없이 소변검사에서 의심되거나, 혈액 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되기 

 도 합니다.

 혈당이 오랫동안 높게 유지될 때

 체중감소와 소위 삼다(三多)현상(많이 먹음, 많이 마심, 소변을 많이 봄)

 이라는 전형적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대한의학회/질병관리본부 -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5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1. 서론 김병광 2017.05.04 2645
94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4) 자기관리교육 김병광 2017.05.05 2647
93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2. 본론 2) 당뇨병 전단계환자의 관리 김병광 2017.05.04 2665
92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3) 혈당조절 김병광 2017.05.04 2705
91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1) 진단 및 선별검사 김병광 2017.05.04 2710
90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6) 동반된 심혈관 위험요소의 관리 김병광 2017.05.06 2764
89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 권고사항 김병광 2017.05.03 2766
88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3. 근거가 불충분한 사항 김병광 2017.05.07 2783
87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5) 제2형 당뇨병의 약물치료 김병광 2017.05.06 2851
86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7) 당뇨병합병증의 선별검사 및 관리 김병광 2017.05.06 2895
85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5) 제2형 당뇨병의 약물치료 김병광 2017.05.06 2901
84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5) 제2형 당뇨병의 약물치료 김병광 2017.05.06 2987
83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5) 제2형 당뇨병의 약물치료 김병광 2017.05.06 3032
82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Ⅳ. 자가관리 실천하기: 5 김병광 2015.07.23 5426
81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Ⅳ. 자가관리 실천하기: 3 김병광 2015.07.23 5428
80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Ⅲ. 당뇨병 관리 및 치료받기: 1 김병광 2015.07.20 5429
79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Ⅲ. 당뇨병 관리 및 치료받기: 4 김병광 2015.07.22 5458
78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Ⅳ. 자가관리 실천하기: 4 김병광 2015.07.23 5482
»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Ⅰ. 당뇨병 알기: 2 김병광 2015.07.17 5511
76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Ⅰ. 당뇨병 알기: 3 김병광 2015.07.17 554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