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2011.09.17 14:50

11. 당뇨병 치료제 - 경구약제

조회 수 1769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 초기치료 원칙

  1) 당뇨병성 합병증의 예방을 위하여 정상수준으로 철저하게 혈당을

     조절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적극적인 생활습관개선과 함께 당뇨병 진단 후

     초기에 적극적인 약제투여가 필요합니다.

     ☎ 고혈당의 노출기간과 당뇨병의 합병증의 발생은 상관관계가

        있어 노출기간이 길으면 길수록 합병증 발생이 증가합니다.

  2) 혈당조절 목표는 당화혈색소를 평가하는 것으로 하며

     목표는 6.5%이하입니다.

  3) 생활습관개선으로 2-3개월 내에 혈당조절의 목표에 도달하지

     못하면 약제투여를 시작해야 합니다.

     ☎ 생활습관으로 당화혈색소치가 1-1.5%정도 낮출수 있으므로

        초기에 당화혈색소가 7.5-8% 정도면 생활습관개선과 동시에

        약제를 바로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4) 심한 고혈당의 경우 생활습관개선과 함께 메트포르민을 포함한

     약제치료를 진단부터 복용하는 것을 고려해야 합니다.

  5) 환자의 임상적 특성, 약제의 작용기전 및 효능, 비용 및 안전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약제를 선택해야 합니다.

  6) 경구혈당강하제 단독요법의 실패는 생활습관개선과 함께 최대용량으로

     3-6개월 이내에 당화혈색소의 목표치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로

     정의하고 이때는 적극적인 병합요법을 시작합니다.

 

2. 약물 병합요법

  1) 단독요법으로 혈당조절 목표에 실패할 경우 용량을 늘리거나

     작용기전이 다른 약제로 병합요법을 시행하여야 합니다.

  2) 혈당조절상태에 따라 단독요법 실패 전에도 조기병합요법을

     시행하여야 합니다.

  3) 환자에 따라 처음부터 병합요법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4) 병합요법 실패시 인슐린 치료가 추천되나 환자의 특성과 상황에 따라

     약제 변경, 3제 병합요법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 경구혈당강하제는 그 작용기전에 따라 5가지로 분류됩니다.

  1) 베타세포로부터 인슐린분비를 직접 자극하는 sulfonyurea (non-   

     sulfonyurea 포함)

  2) 간 에서 포도당 합성을 억지하는 biguanide계

  3) 장에서 포도당 흡수를 억제하는 a-glucosidase inhibitor계

  4) 말초의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 시키는 thiazolidinedione 계

  5) 인크레틴 효과를 증강시키는 GLP-1 agonist, DPP IV inhibitor 

     등이 있습니다.

  ☎ 그러나 제2형 당뇨병 환자들의 혈당조절을 위해서는 병합요법이

     필요하고 이는 일시적으로 혈당을 개선시키지만

     당뇨병은 천천히 진행되는 질환이므로(인슈린 저항성과 베타세포의

     기능장애) 이환기간이 15년 이상인 환자에의 50%에서 인슈린을

     투여 받게 됩니다.

 

 

                                     처: 당뇨병 진료지침 2011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5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1. 서론 김병광 2017.05.04 2645
94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4) 자기관리교육 김병광 2017.05.05 2647
93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2. 본론 2) 당뇨병 전단계환자의 관리 김병광 2017.05.04 2665
92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3) 혈당조절 김병광 2017.05.04 2705
91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1) 진단 및 선별검사 김병광 2017.05.04 2710
90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6) 동반된 심혈관 위험요소의 관리 김병광 2017.05.06 2764
89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 권고사항 김병광 2017.05.03 2766
88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3. 근거가 불충분한 사항 김병광 2017.05.07 2783
87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5) 제2형 당뇨병의 약물치료 김병광 2017.05.06 2851
86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7) 당뇨병합병증의 선별검사 및 관리 김병광 2017.05.06 2895
85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5) 제2형 당뇨병의 약물치료 김병광 2017.05.06 2901
84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5) 제2형 당뇨병의 약물치료 김병광 2017.05.06 2987
83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5) 제2형 당뇨병의 약물치료 김병광 2017.05.06 3032
82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Ⅳ. 자가관리 실천하기: 5 김병광 2015.07.23 5426
81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Ⅳ. 자가관리 실천하기: 3 김병광 2015.07.23 5428
80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Ⅲ. 당뇨병 관리 및 치료받기: 1 김병광 2015.07.20 5429
79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Ⅲ. 당뇨병 관리 및 치료받기: 4 김병광 2015.07.22 5458
78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Ⅳ. 자가관리 실천하기: 4 김병광 2015.07.23 5482
77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Ⅰ. 당뇨병 알기: 2 김병광 2015.07.17 5511
76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Ⅰ. 당뇨병 알기: 3 김병광 2015.07.17 554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