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20486 추천 수 0 댓글 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7. 혈당조절 목표

  1) 혈당조절의 목표는 당화혈색소를 기준으로 결정하며,

     식전과 식후 2시간 혈당도 같이 사용해야 합니다.

  2) 제 2형 당뇨병 환자에서 미세혈관 합병증 및 대혈관 발생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혈당조절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 미세혈관 합병증이란? : 망막병증, 신증, 신경병증을 말합니다.

        대혈관 합병증이란?: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증, 뇌졸증, 하지혈관

                           질환(폐쇄성동맥경화증)을 말합니다.

  3) 당뇨병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혈당조절의 목표는 당화혈색소 6.5% 이내로

     합니다.

  4) 혈당조절 목표는

     환자의 나이, 당뇨병 유병기간,당뇨병 합병증의 진행정도, 동반질환들

     저혈당 위험, 여명기간, 순응도 등에 따라 개별화 할것을 고려해야 합니다.

     아주 젊고 건강하거나, 임신을 했거나, 수술전후나 급성질환이 있을 경우

     좀 더 얼격히 혈당조절(6.0%)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반면 여명이 얼마 남지 않거나, 합병증이 진해되었거나, 심한 저혈당이 반복

     되거나, 당뇨병의 유병기간이 아주 긴 경우라면 조절 목표를 완화시키는 것을

     고려해야 합니다.

  5) 적극적인 혈당조절은 미세혈관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으며, 진단 초기부터  

     적극적으로 혈당조절을 하면 장기간 대혈관합병증의 생위험을 줄일 수 있습

     니다.

     적극적인 혈당조절은 저혈당의 발생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 당화혈색소 목표치 개별화의 예

     당화혈색소                        위험요소                     

      < 6.0         40세 이하, 당뇨병 초기, 합병증이 없는 경우

      < 6.5         65세 이하, 당뇨병 10년 이하, 합병증이 없는 경우

        7.0 -       65세 이상, 당뇨병 10년 이상, 합병증을 동반한 경우

 

  * 2013년미국당뇨학회 당화혈색소 목표치

    ① < 7.0% : 대부분의 임신안한 성인         

    ② < 6.5% : 저혈당 위험이 없이 목표치에 쉽게 도달하는 경우

                치료 때 다른 부작용이 없을 경우이며

                대부분 당뇨진단이 얼마 안된 환자나,

                여명이 많이 남아 있는 환자

                심혈관질환이 없는 환자인 들의 경우입니다.

    ③ < 8% : 심한 저혈당 병력이 있을 때,

              여명이 많이 안 남았을 때

              많이 진행된 미세혈관 혹은 대혈관 합병증이 있을 때

              광범위한 동반질환이 있을 때

              적절한 교육 및 인슐린을 포함한 다제요법 사용에도 목표치

              에 도달하기 어려운 오래된 당뇨병환자     

  

8. 혈당조절의 모니터링 및 평가

  1) 당화혈색소 측정

     혈당조절 목표에 도달했는지 확인하기 위해 당화혈색소를 3개월마다 측정하는

     것을 고려하나, 환자의 상태에 따라 의사가 결정할 수 있습니다.

  2) 자가혈당 측정

    ⑴ 인슐린을 사용중인 환자는 자가혈당 측정을 해야 합니다.

       인술린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자가혈당 측정은 혈당조절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⑵ 자가혈당 측정기의 측정 정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1년에 1회 이상 검사실에서 측정한 혈당치와 비교하여

       오차범위 내에서 측정되도록 자가혈당 측정기를 관리해야 합니다.

    ⑶ 자가혈당 측정은 매 식사 전후, 자기 전, 운동 전, 저혈당이 의심될 때

       하며, 저혈당 치료 후, 운전처럼 위험할 수 있는 일을 하기전 하며 상태

       에 따라 검사 횟수나 측정시기는 조정합니다.

    ⑷ 인슐린 치료를 받지 않는 환자들에게는 자가혈당 측정이 혈당개선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는 상반된 결과들이 보고 되어 있으므로 검사 횟수는 환자의

       상황에 따라 개별화해야 합니다.

       자가혈당 측정의 정확도는 기기나 사용자에 의존적이므로 측정기의 정확도

       나 환자의 기기 사용 숙련도를 주기적으로 확인해야 하며, 매년 1회 이상

       검사실에서 측정한 혈당과 자자혈당 측정의 결과를 비교해야 합니다.

    ⑸ 자가혈당 측정의 유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환자가 그 결과를 적절히 해석

       하고 이를 혈당관리에 이용할 수 있도록 의료진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해

       야 합니다.

  3) 지속적 혈당측정

     혈당조절이 불량하여 저혈당이나 고혈당의 위험이 많은 경우에는

     혈당조절을 감시하는 방법으로 지속적 혈당 측정기를 사용할 수 도

     있습니다.

  4) 당화혈색소의 검사에서 몇가지 제한점은

     출혈이나 혈색소병을 갖고 있는 경우 당화혈색소는 적절한 혈당상태를 반영하

     지 못하므로 이런 경우 플록토사민이나, 당화알부민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당화혈색소는 저혈당이니 혈당의 변동성도 반영하지 못하므로  당화혈색

     소 측정과 더불어 자가혈당측정이 필수적입니다.

  5) 자가혈당 측정은 치료에 대한 반응이나 치료후 목표혈당에 도달했는지 알 수

     있는 중요한 관리 수단입니다. 저혈당을 예방하거나 약물치료, 암상영양요법,

     운동 등을 조정하는 지표로도 유용합니다.

    

                                                                                 출처: 당뇨병 진료지침 2011/일차의료용 당뇨병 임상진료지침 2019.1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5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1. 서론 김병광 2017.05.04 2645
94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4) 자기관리교육 김병광 2017.05.05 2647
93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2. 본론 2) 당뇨병 전단계환자의 관리 김병광 2017.05.04 2665
92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3) 혈당조절 김병광 2017.05.04 2705
91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1) 진단 및 선별검사 김병광 2017.05.04 2710
90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6) 동반된 심혈관 위험요소의 관리 김병광 2017.05.06 2764
89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 권고사항 김병광 2017.05.03 2766
88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3. 근거가 불충분한 사항 김병광 2017.05.07 2783
87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5) 제2형 당뇨병의 약물치료 김병광 2017.05.06 2851
86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7) 당뇨병합병증의 선별검사 및 관리 김병광 2017.05.06 2895
85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5) 제2형 당뇨병의 약물치료 김병광 2017.05.06 2901
84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5) 제2형 당뇨병의 약물치료 김병광 2017.05.06 2987
83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5) 제2형 당뇨병의 약물치료 김병광 2017.05.06 3032
82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Ⅳ. 자가관리 실천하기: 5 김병광 2015.07.23 5426
81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Ⅳ. 자가관리 실천하기: 3 김병광 2015.07.23 5428
80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Ⅲ. 당뇨병 관리 및 치료받기: 1 김병광 2015.07.20 5429
79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Ⅲ. 당뇨병 관리 및 치료받기: 4 김병광 2015.07.22 5458
78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Ⅳ. 자가관리 실천하기: 4 김병광 2015.07.23 5482
77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Ⅰ. 당뇨병 알기: 2 김병광 2015.07.17 5511
76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Ⅰ. 당뇨병 알기: 3 김병광 2015.07.17 554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