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2451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 당뇨병의 진단기준

  1) 정상혈당은 최소 8시간 이상 음식을 섭취하지 않은 상태에서

     공복 혈장 혈당 100mg/dl 미만이고

     75g 경구 당부하 2시간 후 혈장 혈당 140mg/dl 미만입니다.

  2) 공복혈당장애는 공복혈장혈당 100-125mg/dl 입니다.

  3) 내당능장애는 75g 경구당부하 2시간 후 혈장혈당 140-199mg/dl 입니다.

  4) 당화혈색소 5.7-6.4%에 해당하는 경우 당뇨병 고위험군으로 진단합니다.

  5) 다음 중 한 항목에 해당하면 당뇨병으로 진단합니다.

     ① 공복 혈장 혈당 ≥ 126mg/dl : 이 기준은 명백한 고혈당이 아니라다른

        날에 검사를 반복하여 확인해한다.

     ② 당뇨병의 전형적인 증상(다뇨, 다음, 설명 되지 않은 체중감소)과

        임의 혈장혈당 ≥ 200mg/dl 인 경우입니다.

     ③ 75g 경구당부하검사 후 2시간 혈장혈당 ≥ 200mg/dl 인 경우입니다.

     ④ 당화혈색소 ≥ 6.5%인 경우 입니다.


3. 임신성 당뇨병의 진단기준

 Ⅰ. 선별검사

   1) 모든 산모는 첫 산전 방문 시에 공복혈당, 무작위 혈당, 혹은

      당화혈색소측정을 통해 당뇨병 여부에 대한 검사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이전에 당뇨병이나 임신성 당뇨병으로 진단받지 않은 산모는

      임신24-28주에 2시간 75g 경구당부하검사를 시행을 고려합니다.

      (1단계 접근법)

   3) 기존의 2단계 접근법을 이용할 경우에는 50g 당부하 1시간 후 혈당

      140mg/dl 이상(고위험 산모의 경우 130mg/dl)이면 선별검사

      양성으로 판정하여 100g 경구 당부하검사 시행을 고려해야 합니다.

 Ⅱ. 진단기준

   1) 첫 번째 산전 방문검사 시 당뇨병의 일반진단 기준을 적용합니다.

      이 경우에 발견되는 경우 발견되는 당뇨병은 임신성 당뇨병이 아닌 기왕의

      당뇨병으로 규정합니다.

   2) 임신 24-28주 사이에 시행한 2시간 75g 경부당부하검사 결과 다음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하는 경우 임신성 당뇨병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1) 공복 혈장 혈당 ≥ 92mg/dl

     (2) 당부하 1시간 후 혈장 혈당 ≥ 180mg/dl

     (3) 당부하 2시간 후 혈장 혈당 ≥ 153mg/dl

   3) 기존의 2단계 접근법으로 100g 경구 당부하검사를 시행한 경우에는

      다음기준 중 2가지 이상을 만족하는 경우 임신성 당뇨병으로 진단할 수 있

      습니다.

     (1) 공복혈장 혈당 ≥ 95mg/dl

     (2) 당부하 1시간 후 혈장 혈당 ≥ 180mg/dl

     (3) 당부하 2시간 후 혈장 혈당 ≥ 155mg/dl

     (4) 당부하 3시간 후 혈장 혈당 ≥ 140mg/dl

 

     ☎ 임신성 당뇨병은

        임신성 고혈압, 분만 시 손상, 난산, 산모의 당뇨병 발생과 관련이

        있고

        거대아, 신생아 저혈당, 신생아 골절및 신경손상 등 주산기 합병증

        을 유발하며 장기적으로 자녀의 비만과 당뇨병의 위험을 증가시킵

        니다.

        따라서 임신성 당뇨병을 일찍 발견하여 치료함으로써 주산기

        이환률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출처: 당뇨병 진료지침 2011/일차의료용 당뇨병 임상진료지침 2019.1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5 당뇨병 1. 당뇨병 선별검사 김병광 2011.09.01 22348
94 당뇨병 1. 당뇨병이란/ 2. 당뇨병 분류 5 김병광 2011.05.02 21824
93 당뇨병 10. 당뇨환자에서 운동요법 김병광 2011.09.16 17341
92 당뇨병 11. 당뇨병 치료제 - 경구약제 김병광 2011.09.17 17697
91 당뇨병 12. 당뇨병 치료제 - 인슈린 (언제 인슈린요법을 시행하여야 하나?) 김병광 2011.09.20 19731
90 당뇨병 13. 자기관리교육 14. 당뇨병환자에서 백신접종은? 김병광 2011.09.22 18380
89 당뇨병 15. 저혈당 관리 3 김병광 2011.09.23 22291
88 당뇨병 16. 당뇨병환자의 특별한 상황에서의 관리(아픈 날, 여행 등) 6 김병광 2011.09.24 17702
87 당뇨병 17. 당뇨환자의 심혈관 위험인자 평가 김병광 2011.09.26 19180
86 당뇨병 18. 당뇨병 환자에서 이상지혈증관리는? 김병광 2011.09.27 20538
85 당뇨병 19. 당뇨병환자에서 고혈압관리는? 김병광 2011.09.29 18899
» 당뇨병 2. 당뇨병의 진단기준 3. 임신성당뇨병의 진단기준 김병광 2011.09.02 24511
83 당뇨병 20. 항혈소판제는 모든환자가 복용해야하나 21. 당뇨병환자에서 금연 김병광 2011.10.01 21372
82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Ⅰ. 당뇨병 알기: 1 김병광 2015.07.17 5655
81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Ⅰ. 당뇨병 알기: 2 김병광 2015.07.17 5511
80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Ⅰ. 당뇨병 알기: 3 김병광 2015.07.17 5546
79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Ⅱ. 당뇨병환자의 4가지 관리목표 수립하기 김병광 2015.07.17 5561
78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Ⅲ. 당뇨병 관리 및 치료받기: 1 김병광 2015.07.20 5429
77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Ⅲ. 당뇨병 관리 및 치료받기: 2 김병광 2015.07.21 6243
76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Ⅲ. 당뇨병 관리 및 치료받기: 3 김병광 2015.07.21 575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