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858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혈압이란  혈액이 혈관벽에 가하는 힘을 말합니다. 
수축기 혈압은 심장이 수축하면서 혈액을 내보낼 때 혈관에 가해지는 압력이고, 
확장기 혈압은 심장이 확장(이완)하면서 혈액을 받아들일 때 혈관이 받는 압력을 말합니다.

1.고혈압기준
   고혈압기준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정 상          < 120     그리고    < 80
   고혈압 전단계     120~139     혹은     80~89
    2단계 고혈압      ≥ 160     혹은    ≥ 100   .

2. 혈압 측정
  1) 가정혈압 측정 지침(한국가정혈압학회)
     측정부위: 앉은 자세로
               커프가 우심방(심장) 높이에
               팔뚝은 책상위에 올려놓고 팔은 편 상태로
               주로 사용하지 않는 팔(오른손잡이는 왼손을 측정)
               양팔에 차이가 나면 높은 쪽 팔의 혈압을 측정합니다.
               항상 동일한 팔을 측정합니다.
     측정조건: ⑴ 아침 - 기상 후 1시간 이내
                         배뇨 후
                         앉은 자세로 2-3분 안정 후
                         약물 복용 전
                         아침 식사 전
               ⑵ 밤 -   취침 전
                         앉은 자세로 2-3분 안정 후
     측정 횟수 및 기간: 원칙적으로는 아침과 저녁 각각 1회씩 매일 측정합니다.
                        고혈압 약 복용 전에는 적어도 주 5일
                        고혈압 치료 후 혈압 안정기에는 주 3일
                        약제 변경 시에는 주 5일 측장합니다.
                       * 정상 혈압인 경우에는 건강관리 차원에서 월 1회 정도
                         지속적으로 측정합니다.
     기록: 측정 된 모든 혈압은 날짜, 측정시간, 심박 수를 같이 기록합니다.
     집계: 아침과 저녁 각각 1회씩 측정한 것을 아침 것 평균, 저녁 것 평균을 내
           어 평가합니다.
     평가: 135/85mmHg 이상 시 고혈압이라 진단합니다.
  2) 진료실 혈압측정  
     5분 이상 안정 후 혈압을 재어 측정치가 높으면 2분후에 두 번째 측정합니다.
     처음 측정한 것과 5mmHg 이상 차이가 나면 다시 2분 후에 3번째 측정합니다.
     2번째와 3번 째 측정이 5mmHg이상 차이가 나지 않으면 2번째와 3번째를 평균을 내어 기록합니
     다.
  3) 활동 중 혈압
     활동 중 혈압 측정이 진료실에서 측정한 것 보다 표적장기 손상 및 심혈관계
     사망률을  예측하는데 더 우월합니다.
     특히 야간 혈압이 가장 강력한 예측인자입니다.
     야간 혈압이 주간 혈압보다 강하 폭이 10%이하면 뇌졸중 위험이 높고, 아침에 급격히 혈압이 상승
     하면 뇌출혈의 위험이 높습니다.
     따라서 24시간 혈압이 고르게 잘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4 고혈압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Ⅰ. 고혈압 1.서론 김병광 2017.04.22 2494
73 고혈압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 1 .고혈압 2.본론 1) 고혈압 진단 김병광 2017.04.22 2516
72 고혈압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Ⅰ. 고혈압 2.본론 2) 고혈압 환자평가 김병광 2017.04.24 2584
71 고혈압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Ⅰ. 고혈압 2.본론 3) 고혈압 관리 김병광 2017.04.25 2599
70 고혈압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Ⅰ. 고혈압 2.본론 3) 고혈압 관리 김병광 2017.04.26 2635
69 고혈압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Ⅰ. 고혈압 2.본론 3) 고혈압 관리 김병광 2017.05.03 2637
68 고혈압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Ⅰ. 고혈압 2.본론 3) 고혈압 관리 김병광 2017.05.02 2656
67 고혈압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Ⅰ. 고혈압 2.본론 3) 고혈압 관리 김병광 2017.04.25 2677
66 고혈압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Ⅰ. 고혈압 2.본론 3) 고혈압 관리 김병광 2017.05.03 3371
65 고혈압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Ⅰ. 고혈압 2.본론 2) 고혈압 환자평가 김병광 2017.04.24 3507
64 고혈압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 1 .고혈압 2.본론 2) 고혈압 환자 평가 김병광 2017.04.24 3521
63 고혈압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Ⅰ. 고혈압 2.본론 3) 고혈압 관리 김병광 2017.05.01 3604
62 고혈압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 1 .고혈압-권고사항 김병광 2017.04.21 3733
61 고혈압 2019년 고혈압 임상진료지침(일차 의료용) - Ⅸ. 고혈압의 특수상황: 뇌혈관 질환과 고혈압 김병광 2015.07.14 4890
60 고혈압 2019년 고혈압 임상진료지침(일차 의료용) - Ⅴ. 고혈압 환자의 생활습관개선: 3 김병광 2015.07.12 4989
59 고혈압 2014년 고혈압 관리 지침서(환자용) - 고혈압 환자의 동반된 위험요인 평가 김병광 2015.07.01 5022
58 고혈압 2014년 고혈압 관리 지침서(환자용) - 고혈압의 합병증 (1) 김병광 2015.07.04 5022
57 고혈압 2019년 고혈압 임상진료지침(일차 의료용) - Ⅵ. 고혈압의 약물요법: 3 김병광 2015.07.13 5057
56 고혈압 2019년 고혈압 임상진료지침(일차 의료용) - Ⅶ. 저항성 고혈압 김병광 2015.07.13 5092
55 고혈압 2019년 고혈압 임상진료지침(일차 의료용) - Ⅸ. 고혈압의 특수상황: 당뇨병을 동반한 고혈압 김병광 2015.07.14 509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