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Ⅰ. 고혈압의 기준과 혈압의 분류

  1. 고혈압의 중요성

   1) 고혈압은 세계질병 발생의 가장 큰 원인이 되는 위험인자입니다.

   2) 혈압은 수축기혈압 110-115 mmHg, 이완기혈압 70-75 mmHg 범위를

      최하점으로 하여 상승할수록 심혈관질환, 만성콩팥병, 망막증의

      발생위험과 사망률을 증가시킵니다.

   3) 50세 이상에서는 이완기혈압보다 수축기혈압, 맥압이 심혈관 합병증에

      대해 더 큰 예측력을 가집니다.

   4) 고혈압 환자에서 수축기 혈압을 10mmHg 낮출경우 주요심혈관 사건발생,

      관상동맥질환, 뇌졸중, 심부전, 총사망률을 10~30% 유의하게 낮출 수 있습

      니다.

   ☎ 혈압에 따른 심혈관질환 사망률은 115/75mmHg 에서 수축기혈압이 20mmHg,

      확장기혈압이 10mmHg 증가함에 따라 2배씩 계속 증가합니다.

      국내자료 KMIC연구에 따르면 140/90 mmHg이상인 고혈압 환자는 130/85 mmHg

      미만의 혈압을 가진 사람들에 비해 심뇌혈관질환의 위험이 2.6배 높았고

      관상동맥질환의 위험도는 130/85 mmHg 미만의 혈압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2기 고혈압 전단계의 경우 위험도가 2.51배 높고 180/110 mmHg 이상에서는

      위험도가 5.08배 높았습니다.


2. 고혈압의 기준과 분류

혈압분류

수축기 혈압(mmHg) 이완기 혈압(mmHg)

정상혈압 *

< 120 그리고 < 80

고혈압 전단계

1기

    120-129 또는 80-84

2기

    130-139 또는 85-89

고혈압

1기

    140-159 또는 90-99

2기

      > 160 또는 ≥100

수축기 단독 고혈압

     ≥ 140 그리고 < 90

* 정상혈압은 심혈관질환의 발병의 위험이 가장 낮은 최적혈압

   

    기립성 저혈압이란?

      일어선 후 3분 이내 측정한 혈압이 앉은 상태의 혈압에 비해

      수축기 혈압이 20mmHg 또는 이완기 혈압이 10mmHg 이상 감소할 경우로

      정의합니다.

   ☎ 고혈압은 혈압의 높이에 따라

      제 1기 고혈압과 제 2기 고혈압으로 분류하며

      수축기혈압 140 mmHg 이상 또는 이완기혈압 90 mmHg 이상을 말합니다.

      특히 2기 고혈압 전단계는 향후 고혈압으로 발전 가능성이 높아

      적극적인 예방이 필요합니다.

                                       


                                                                                 - 대한의학회 -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4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Ⅱ장. 고혈압의 임상평가 7. 환자의 평가 김병광 2013.11.16 9161
53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Ⅰ장. 고혈압의 역학 3. 고혈압의 유병률과 혈압의 분포 4. 고혈압의 관리현황 5. 백의고혈압과 가면고혈압 김병광 2013.11.16 9000
52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Ⅱ장. 고혈압의 임상평가 6. 혈압측정 김병광 2013.11.16 8914
51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Ⅲ장. 고혈압의 치료 8. 고혈압의 치료 김병광 2013.11.18 8266
50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Ⅲ장. 고혈압의 치료 11. 상황별 고혈압 치료 김병광 2013.11.23 8263
49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Ⅳ. 정리 김병광 2013.11.28 8012
48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Ⅲ장. 고혈압의 치료 10. 약물요법 김병광 2013.11.20 7984
47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확회 진료지침 제Ⅱ장. 고혈압의 임상평가 7. 환자의 평가 김병광 2013.11.16 7925
46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Ⅲ장. 고혈압의 치료 10. 약물요법 김병광 2013.11.19 7755
45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Ⅱ장. 고혈압의 임상평가 7. 환자의 평가 김병광 2013.11.16 7750
44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Ⅲ장. 고혈압의 치료 10. 약물요법 김병광 2013.11.19 7637
43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Ⅲ장. 고혈압의 치료 11. 상황별 고혈압 치료 김병광 2013.11.22 7616
42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Ⅲ장. 고혈압의 치료 9. 비약물치료 및 생활요법 김병광 2013.11.18 7548
41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Ⅲ장. 고혈압의 치료 11. 상황별 고혈압 치료 김병광 2013.11.22 7346
40 고혈압 2019년 고혈압 임상진료지침(일차 의료용) - Ⅵ. 고혈압의 약물요법: 1 3 김병광 2015.07.13 5941
39 고혈압 2019년 고혈압 임상진료지침(일차 의료용) - Ⅹ. 고혈압의 위기 김병광 2015.07.14 5850
» 고혈압 2019년 고혈압 임상진료지침(일차 의료용) - Ⅰ. 고혈압의 기준과 혈압의 분류 김병광 2015.07.11 5760
37 고혈압 2019년 고혈압 임상진료지침(일차 의료용) - Ⅷ. 이차성 고혈압 김병광 2015.07.13 5674
36 고혈압 2019년 고혈압 임상진료지침(일차 의료용) - Ⅸ. 고혈압의 특수상황: 만성콩팥병과 고혈압 2 김병광 2015.07.14 5568
35 고혈압 2014년 고혈압 관리 지침서(환자용) - 고혈압의 치료 목적과 목표 김병광 2015.07.01 552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