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775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 혈압약의 종류와 사용법

   ⑴ 이뇨제

      사용초기에는 콩팥에서 나트륨 흡수를 감소시켜 혈압을 낮추지고,

         장기 사용하면 말초혈관 저항을 감소시켜 강압 효과가 나타납니다

      ➁ 티아지드계는

         고용량을 투여하면 저칼륨혈증, 내당능 저하, 요산증가. 부정맥

         지질대사장애 등 부작용이 일어날 수 있지만

         저용량에서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③ 베타차단제와 같이 병용투여하면 당뇨병 및 이상지혈증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비만한 환자나 당뇨병 발생의 위험군 환자에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④ 강압효과를 보려면 고용량을 사용하여야 하는데

         부작용 발생위험이 있는 경우, 저용량에서 강압효과가 필요한

         경우와 대사장애를 줄여야하는 환자에서는 티아지드 유사이뇨제

         (chlorthalidone, indapamide)를 권장합니다.

   ⑵ 베타차단제

      협심증, 심근경색, 빈맥성 부정맥을 동반하는 경우와

         심박수가 높은 비교적 젊은 환자에서 심장선택성이 높은

         베타-1 선택성 베타차단제가 추천됩니다.

      ➁ 천식이나 만성폐색성 폐질환, 2-3도 방실 전도장애가 있거나,

         말초혈관질환이 동반된 환자에서 조심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③ 베타 차단제는 혈당 및 지질대사장애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노인, 혈당상승, 당뇨병환자, 대사증후군 환자에서는 주의해서

         투여해야 합니다.

         특히 아테놀은 뇌졸중 예방효과가 다른 고혈압에 비해 열등하므로

         노인에서는 일차약으로 추천되지 않습니다.

         특히 이뇨제와 병용 투여시 당뇨병위험이 증가하므로 특별한 경우

         가 아니면 병용하지 않습니다.

   ⑶ 칼슘길항제

      속효성 칼슘길항제는 빈맥을 초래하며 심장에 부담을 줄 수 있으

         므로 장시간 작용형 갈슘길항제가 추천됩니다.

      ➁ 관상동맥 확장작용이 있어 안전형협심증에 효과적이고,

         관상동맥연축에 의한 이형협심증에 매우 효과적입니다.

      ③ 경동맥죽상동맥경화증의 진행속도을 늦추고 심비대 감소에도

         효과적입니다.

      ④ non-dihydropirydines칼슘길항제인 verapamil과 diltiazem은 

         - 반사성빈맥이 없어 심근경색 후 에도 효과적이며 이완기 충만을

           개선시키므로 비후성심근증 환자에게 추천됩니다.

         - 변비, 방실전도 장애, 심근수축력저하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방실차단 및 수축기 심부전증 환자에서는 조심해서 사용하고

           고령 환자에서는 베타차단제와 병용 투여할 때 주의가 필요합니

           다.

       ⑤ 부작용으로는 dihydropirydine 칼숨길항제에서 빈맥, 발목부종 

          두통 및 안면홍조가 흔합니다.

    ⑷ 안지오텐신전환효소 억제제(ACE억제제/안지오텐신차단제)

       심부전환자의 사망률을 감소시키고,

          콩팥기능장애의 진행을 억제하고

          좌심실비대와 죽상동맥경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혈관내피세포의 기능을 개선시키고

          혈관재형성에 이로운 효과가 있으며,

          혈당 및 지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이 적습니다.

       ➁ 고령환자나 탈수 환자에서는 초기에 저혈압이 발생할 수 있으므

          로 주의해야 합니다.

       ③ 양측성 신동맥협착 환자에게 투여하면 심한 저혈압 및 신기능

          악화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치료 첫 2개월 내에는 혈청 크레아틴이 상승할 수 있으나,

          기저치 대비 30%이내로 상승하고 혈중 칼륨이 5.5mEq/L 이상

          증가하지 않으면 약을 중단할 필요는 없습니다.

       ④ 혈청 크레아티닌이 3.0mg/dl 이상이 환자에서는 조심해야 합니다

       ⑤ 칼륨과 콩팥기능은 투여전과 투여 후 1-2주일 이내에 검사합니다

          그 후에는 3개월, 6개월 후에 검사합니다.

       ACE억제제는 Bradykinin 분해를 억제하여 마른기침이 생길 수

          있고, 여성과 비흡연자에서 더 흔합니다.

       ACE억제제와 안지오텐신차단제는 태아에 해로우므로 임심주에게

          는 금기입니다.

  ⑸ 기타 약물

   ① 알파차단제는 강압효과와 함께 전립선비대 환자의 배뇨환자를 호전

      시키는 데 효과적이며 당 및 지질대사를 효과적으로 개선합니다.

      기립성저혈압이나 심부전을 악화시켰다는 연구결과가 있어 주의 해야

      합니다.

   ② 중추신경에 작용하는 강압제로는 clonidine, methydopa, reserpine

      등이 있으나 부작용이 많아 일차약으로는 권고되지 않고 특별한

      적응증이 있는 경우에 사용합니다.

      Methyldopa는 임신부의 고혈압에 아직도 선호되는 강압제이나 부작용

      이 많아 일차 선택약은 안입니다.

   ③ 혈관확장제인 Hydralazine은 임신부 고혈압에 비교적 안전하게 사용

      할 수 있습니다.

 

 

                                                           출처. 2013년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 고혈압 2019년 고혈압 임상진료지침(일차 의료용) - Ⅴ. 고혈압 환자의 생활습관개선: 3 김병광 2015.07.12 4989
33 고혈압 2019년 고혈압 임상진료지침(일차 의료용) - Ⅴ. 고혈압 환자의 생활습관개선: 2 김병광 2015.07.12 5410
32 고혈압 2019년 고혈압 임상진료지침(일차 의료용) - Ⅴ. 고혈압 환자의 생활습관개선: 1 김병광 2015.07.12 5478
31 고혈압 2019년 고혈압 임상진료지침(일차 의료용) - Ⅳ. 고혈압 관리의 일반원칙 김병광 2015.07.12 5212
30 고혈압 2019년 고혈압 임상진료지침(일차 의료용) - Ⅲ. 고혈압 환자의 평가: 2 김병광 2015.07.12 5144
29 고혈압 2019년 고혈압 임상진료지침(일차 의료용) - Ⅲ. 고혈압 환자의 평가: 1 김병광 2015.07.12 5450
28 고혈압 2019년 고혈압 임상진료지침(일차 의료용) - Ⅱ. 고혈압의 진단 김병광 2015.07.11 5269
27 고혈압 2019년 고혈압 임상진료지침(일차 의료용) - Ⅰ. 고혈압의 기준과 혈압의 분류 김병광 2015.07.11 5760
26 고혈압 2014년 고혈압 관리 지침서(환자용) - 정리 김병광 2015.07.05 5382
25 고혈압 2014년 고혈압 관리 지침서(환자용) - 고혈압의 합병증 (2) 김병광 2015.07.04 5290
24 고혈압 2014년 고혈압 관리 지침서(환자용) - 고혈압의 합병증 (1) 김병광 2015.07.04 5022
23 고혈압 2014년 고혈압 관리 지침서(환자용) - 고혈압의 치료 목적과 목표 김병광 2015.07.01 5523
22 고혈압 2014년 고혈압 관리 지침서(환자용) - 고혈압의 치료 (2) 김병광 2015.07.04 5511
21 고혈압 2014년 고혈압 관리 지침서(환자용) - 고혈압의 치료 (1) 김병광 2015.07.04 5320
20 고혈압 2014년 고혈압 관리 지침서(환자용) - 고혈압의 종류와 원인 김병광 2015.07.01 5227
19 고혈압 2014년 고혈압 관리 지침서(환자용) - 고혈압 환자의 동반된 위험요인 평가 김병광 2015.07.01 5022
18 고혈압 2014년 고혈압 관리 지침서(환자용) - 고혈압 알기 김병광 2015.06.29 5468
17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확회 진료지침 제Ⅱ장. 고혈압의 임상평가 7. 환자의 평가 김병광 2013.11.16 7925
16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Ⅲ장. 고혈압의 치료 9. 비약물치료 및 생활요법 김병광 2013.11.18 7548
15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Ⅲ장. 고혈압의 치료 8. 고혈압의 치료 김병광 2013.11.18 826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